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가짜 판치는 전쟁기념관, 규모보다 내실 다져야...

전쟁기념관에 전시중인 고증 오류 전시물. 왼쪽부터 한국전쟁 이후 채택된 중공군 군복과 북한군 군복, 1980년대 헬멧커버를 장착한 주월파병 장병 전시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 자리잡은 전쟁기념관은 11만5000m²의 옛 육군본부 부지에 들어선 서울의 명소 중 한 곳이다. 하지만 4년 연속 200만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 기념관이라고 하기에는 전시물의 관리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욱이 이러한 상황에서 부산에 제2 전쟁기념관 건립이 추진되고 있어, '전시물의 내실있는 관리보다 몸집 불리기에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전쟁기념관 관계자는 23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일각의 지적을 겸허히 받아 들인다. 전시물 관리 및 컨텐츠 개선을 위해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1994년 개관된 전쟁기념관은 명칭대로 박물관이 아닌 한국전쟁(6.25)을 중심으로 전쟁을 기념하는 시설이다 보니, 친정권 성향의 예비역 장군들이 기념관장을 맡아 왔다.

실제로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한국전쟁 및 베트남전쟁 관련 전시물 상당수가 역사 고증을 제대로 거치지 않았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 왔다.

대표적인 고증 오류로는 ▲한국전쟁 당시의 중공군의 피복과 장구류는 한국전쟁이 끝난 1955년 채택된 것 ▲한국전쟁 당시 노획된 북한군 군복은 1980년대 제품 ▲베트남전 국군 헬멧커버는 1980년 미군용품 ▲한국전관련 주요전투 다오라마에 80년대 군장비 사용 ▲옥외 군사장비에 대한 잘못된 재현 및 관리 등이 있다.

앞서 지난 6월에 이러한 언론보도가 나오자 당시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언론보도에 따라 전시물 전반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휴전 65주년인 올해가 끝나는 현재까지 전시물들에 대한 고증 및 관리 개선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문제에 대한 개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은 군사유적을 관리하는 제반 규정이 없는 국방부에 전쟁기념관 운영 예산을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쟁기념관의 운영 예산의 60%는 국방부가 지원하고 40%는 전쟁기념관이 예식사업 및 대관사업으로 충당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전쟁기념관이 편향적인 이념을 전달하는 기념관이 아닌 전문성을 갖춘 독립된 군사박물관으로 재탄생 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이와 함께 전국에 산재된 군사기념관들의 군사유물들에 대한 전수조사도 필요한 상황이다.

부산광역시는 지난해 제2전쟁기념관 건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평가를 국방부에 신청해, 전쟁기념관의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국방부 사업 승인을 얻어 휴전협정 70주년인 2023년 개관할 예정이다. 군사유적 및 전시물의 내실 없이 무리한 시설 확충은 역사에 대한 잘 못된 인식만 심어 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일본의 유명 군사유물 수집가인 오카바 토루씨는 "1989년 관제 기념관 형식으로 설립이 추진된 전쟁기념관이 시대에 맞는 내실을 다지지 못한채 확대되는 것은 우려할 상황"이라며 "한국의 경제규모를 감안할 때 내가 방문한 북한의 군사전시관들 보다 못한 전시물 관리는 국격에 맞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전쟁기념관 관계자는 "세부 설명 등을 통해 복각품 및 대체품 인지에 대한 설명을 보강하고, 민간자문위원 등을 위촉해 역사적 고증 오류 등을 바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