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6% 넘게 급락하는 가운데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이 7주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휘발유는 전국 평균 판매가가 1400원대 초반까지 떨어지면서 2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당분간 계속 하락할 것으로 보여 조만간 1300원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2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1ℓ당 평균 25.3원 내린 1426.5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7주간 무려 263.6원이나 하락하면서 지난 2016년 11월 다섯째주(1424.2원) 이후 약 2년 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셈이다. 일간 기준으로는 지난 20일 1417.5원까지 하락했다.
자동차용 경유는 한주 만에 20.7원 하락한 1320.4원으로 지난해 11월 넷째주(1318.6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정부의 유류세 인하 조치가 적용되지 않은 실내용 경유도 8.5원이나 내린 979.0원을 기록하면서 5주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상표별로는 알뜰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1ℓ당 평균 24.9원 하락한 1398.8원에 판매되면서 1400원 선이 무너졌다. 가장 비싼 SK에너지는 1443.2원으로 한주만에 또다시 24.6원이나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휘발유 가격이 1535.1원으로 전주보다 17.6원 내렸지만 전국 평균보다는 108.6원 높았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평균 21.5원 하락한 1385.0원으로 1300원대에 진입하기도 했다.
한국석유공사는 "국제유가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및 공급과잉 우려 지속 등으로 하락했다"며 "국내 제품 가격도 국제유가 하락 및 유류세 인하 효과로 인해 하락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2.9달러나 내린 56.4달러에 거래됐다.
한편 현재 국제유가는 뉴욕증시 하락 영향으로 6% 넘게 급락하면서 계속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2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거래일 대비 배럴당 3.06달러(6.7%) 내린 42.5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6월21일 이후 최저치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내년 2월물 브렌트유는 3.32달러(6.20%) 내린 50.50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