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를 둘러싼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업계의 기해년(己亥年)은 내실을 다지되, 신성장 동력을 찾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중요한 해가 될 전망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일 신년사에서 "시장의 자율과 창의를 제약하는 낡은 규제 틀은 버리고 디지털 혁명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프레임이 필요하다"며 "암묵적 규제, 보신적 업무처리, 과중한 검사·제재 등 혁신의 발목을 잡는 금융감독 행태를 과감히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위기가 언제라도 그 모습을 달리해 찾아올 수 있음을 경계하고, 잠재위험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며 "리스크 요인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윤 원장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유인부합적 종합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히면서 금융사 종합검사제를 놓고 금융위와 금감원이 또 한 번 의견차이를 보일 전망이다.
김태영 전국은행연합회장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경쟁환경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금융산업의 미래 전략을 세우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 각자가 근본을 강화하고 내실을 다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과 김용덕 손해보험협회장은 보험산업의 생존에 대해 고민하며 소비자의 신뢰 회복을 강조했다.
신 회장은 "오늘의 난관을 극복하고 내일의 활로를 찾는 지혜가 필요한 때"라고 했고 김 회장은 "단순한 변화가 아닌 '완전한 변신'을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
김덕수 여신금융협회장은 "지난해 금융당국의 카드수수료 개편안으로 사업 불투명성이 더욱 높아지는 상황에 놓였다"고 평가하며 "여전사가 공동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은성수 수출입은행장은 "팀 코리아(Team Korea)의 리더로서 정책금융기관, 상업금융기관과 함께 자금을 충분히 지원해 '금융 때문에 수주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지 않아야 한다"며 "'고객과 우산을 함께 쓰는' 진정한 정책금융 기관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윤모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새해 기술혁신 기업의 창업과 스케일업 지원을 위해 핵심 정책 분야 보증을 확대하겠다"며 "또 정부의 혁신적 포용 국가 구현에 앞장서기 위해 사회적 기업과 금융 취약 기업에 대한 포용적 금융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창용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우리 사회는 저출산·초고령화, 양극화, 경제성장·성장동력 저하, 청년실업 등 사회·경제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난제에 직면하고 있다"며 "캠코가 사회·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노력을 한층 강화해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을 위한 선도적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