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20년 은퇴 계획을 밝히고 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은퇴를 선언했다. 내년 까지 해외 직접판매 시스템을 마련한 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겠다는 계획이다. 서 회장 은퇴 후에 회사는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서 회장은 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의지를 밝혔다.
서 회장은 "'램시마SC'를 내세워 글로벌 직판 체제를 구축하고, 올해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법인 설립, 케미칼(합성의약품)의 수출 등을 계획 중"이라며 "1400조원 규모의 세계 제약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말했다.
램시마SC는 셀트리온의 첫 번째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를 피하주사로 만든 제품이다. 자가주사할 수 있어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지난해 유럽의약품청(EMA)에 허가를 신청해 이르면 올해 10~11월께 허가가 예상된다.
그는 "올 한해 글로벌 직판 가능성을 따져보기 위해 네덜란드 주재원이라는 직책으로 직접 세계 몇십국의 영업 현장을 누비며 해외 제약 영업에 나서 보았다"며 "세계 의료 현장을 누비며 직접 유통이 가능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으며 본격적으로 직판 시스템 구축에 나서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서 회장은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생산은 물론, 직판 까지 가능한 기업이 완성되면 2020년 말 은퇴할 계획이다.
그는 "은퇴 후 경영은 전문경영인에게 맡길 계획"이라며 "아들에게는 이사회 의장을 맡기고 회사의 미래를 고민하는 역할을 하도록 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3공장 건설에 대한 계획도 털어놨다. 현재 셀트리온은 해외 진출에 따른 생산 능력 확대 필요로 1공장에 5만ℓ를 증설 중이며 3공장 건설을 검토 중이다.
서 회장은 "생산 능력 추가 확보를 위해 국내에 3공장 12만ℓ를 신규 건설할 예정"이라며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생산비용이 저렴한 일부 해외 국가에 24만ℓ 규모의 공장 건설을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대한항공 기내 승무원에 갑질을 했다는 논란에 대해서도 털어놨다. 그는 갑질과 관련, "사람이다 보니 실수할 때가 있다"며 "회사 직원들을 챙기려는 마음에 표현이 아슬아슬했던 듯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