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통계로 본 사망률의 개선. /보험개발원
생명보험 가입자의 사망원인 1위는 여전히 '암'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률이 크게 증가하면서 자살로 인한 사망원인 순위는 5위에서 3위로 올랐다. 또 사망률 개선과 저출산 기조로 보험가입자의 평균 사망 시 평균 연령과 신규 보험가입자의 평균 연령이 늘어났다.
6일 보험개발원이 생명보험통계를 활용해 최근 10년간 주요 보험지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생명보험 가입자 10만명 당 57.3명은 암으로 사망했다. 2007년(75.9명)과 비교해 18.6명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사망원인 1위였다.
사망원인 2위인 심장질환 사망자는 2017년 13.4명으로 10년(19.6명) 전과 순위는 같았다.
사망원인 중 자살은 2007년 8.3명에서 2017년 10.2명으로 상승하며 5위에서 3위로 크게 올랐다. 자살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제지표가 악화된 2008년 이후 3년간 급격히 증가했다. 10만명 당 자살률은 지난 2008년 8.6명에서 2011년 13.2명으로 늘었다.
폐렴 사망자도 2007년 3.9명에서 2017년 5.7명으로 증가하며 10년 새 7위에서 5위로 올랐다. 고령자 증가와 함께 사망률도 점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보험가입자의 사망률은 낮아지는 추세다. 생명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산출한 사망률은 2007년 10만명 당 197.4명에서 2017년 134.8명으로 연평균 3.7% 감소했다.
보험가입자의 평균 사망 시기도 늦춰지고 있다. 사망 시 평균 연령은 지난 2007년 51.3세에서 2017년 58.8세로 10년간 7.5세 증가했다.
반면 저출산 기조로 저연령 보험가입자 수가 크게 감소했다. 생명보험 가입자 중 15세 이하 어린이 보험가입자 수는 2007년 537만명에서 지난 2017년 374명으로 10년 새 30% 줄었다.
사망률 개선과 저출산 영향으로 신규로 보험에 가입하는 평균 연령은 2007년 35.3세에서 2017년 42.4세로 10년간 7.1세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국민 평균연령 증가 폭 4.7세(36.0→40.7세)보다 크다.
보험가입자를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상 가입자는 늘어난 반면 30대 미만에선 줄었다. 지난 2017년 60세 이상 비율은 10년 전 대비 4.3%포인트, 40~50대는 3.5%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20~30대는 5.2%포인트, 20세 미만은 2.6%포인트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