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가 81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지만 흑자규모는 7개월 만에 최소 수준으로 줄었다. 반도체, 석유제품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단가와 세계 교역량이 둔화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18년 11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는 50억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2012년 3월 이후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 다만 흑자규모는 지난해 4월(17억7000만달러) 이후 최소치다.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줄어든 것은 수출 등 상품수지가 크게 둔화되면서다. 상품수지는 79억7000만달러 흑자로, 전년 동월(114억6000만달러)보다 규모가 대폭 축소하며 지난해 2월(59억3000만달러) 이후 최소 수준을 기록했다.
수출은 517억7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와 석유제품 등 주력품목 단가 둔화와 세계 교역량 둔화, 높은 증가세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기준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수입은 9.3% 증가한 468억3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원유도입단가가 상승한 영향이다.
서비스수지는 22억9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전월(22억2000만달러 적자)에 비해서는 소폭 적자가 늘었지만 작년 동월(32억7000만달러 적자)보다 적자 규모가 줄었다. 그동안 서비스수지 적자를 확대시켰던 여행수지가 개선되면서다.
여행수지는 12억7000만달러 적자로 전월 동월(15억5000만달러)에 비해서 적자폭이 감소했다. 여행수입은 12억7000만달러, 여행지급은 25억9000만달러를 나타냈다.
중국인(35.1%), 일본인(40.5%)을 중심으로 입국자 수가 늘어나는 가운데 출국자 수 증가는 지난해 기저효과 때문에 둔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입국자는 1년 전보다 23.5% 늘었으나 출국자는 3.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7000만달러 적자에서 3000만달러 흑자로 전환됐다. 이전소득수지는 6억5000만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 자산(자산-부채)은 42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 해외투자가 20억1000만달러, 외국인 국내투자가 17억9000만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선 내국인 해외투자가 48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반면 외국인 국내투자는 1억9000만달러 감소하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파생금융상품은 3억4000만달러 증가를 기록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 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4000만달러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