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분기 가계가 신규 주택구입에 나서면서 여유자금이 예년에 비해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중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우리나라 경제활동의 결과 발생한 국내부문의 순자금운용(자금운용액-자금조달액) 규모는 전분기(14조원)보다 증가한 28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순자금운용은 경제주체가 예금, 채권, 보험·연금 준비금으로 굴린 돈(자금 운용)에서 금융기관 대출금(자금 조달)을 뺀 금액이다.
지난해 3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은 11조원으로 전분기와 동일했다. 자금조달은 지난해 3분기 25조1000억원으로 전분기(27조6000억원)보다 줄었다. 같은 기간 자금운용 규모도 38조5000억원에서 36조1000억원으로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높은 수준의 신규 주택구입이 지속되면서 순자금운용 규모가 예년보다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지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3분기 평균 순자금운용 규모는 13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11조원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마이너스(-) 7조2000억원으로 전분기(-15조4000억원)에 비해 축소됐다.
순자금조달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자금조달이 자금운용보다 많았다는 의미다. 기업은 자금을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공급받아 투자하기 때문에 자금 조달이 자금 운용보다 많은 경우가 일반적이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자금조달은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이 모두 확대되면서 전분기 27조5000억원에서 51조2000억원으로 늘어났다. 자금운용도 금융기관 예치금 및 채권에 대한 자금운용이 플러스(+)로 전환하며 12조1000억원에서 44조원으로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조정양상에 있고 한국전력공사 등 일부 공기업의 영업이익 증가로 전분기보다 순자금조달규모가 축소됐다"고 말했다.
일반정부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지난해 2분기 13조1000억원에서 3분기 17조9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지난 2017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규모다.
한은 관계자는 "계절적 요인이 있었다"며 "정부는 상반기 중 재정을 조기 집행함에 따라 하반기에 정부지출 규모가 줄어들어 자금잉여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국내 비금융부문의 금융자산은 8145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104조원 늘었다. 금융부채는 58조4000억원 증가한 5342조8000억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