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통사고 사망자 발생 추이(1970년~2018년)./ 서울시
지난해 서울 시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99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와 서울지방경찰청은 2018년 시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44명 줄어든 299명이며, 일평균 0.82명으로 잠정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적은 숫자다.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0.96명으로 처음으로 1명 이하로 내려갔다.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0명으로 2017년 3.4명보다 0.4명 줄었다. 201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통계 기준으로 스위스(2.6명), 스웨덴(2.7명), 영국(2.8명)과 유사하며, 일본(3.7명), 캐나다(5.2명), 프랑스(5.4)명, 미국(11.6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교통사고 사망자는 감소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4년 400명, 2016년 376명, 2016년 348명, 2017년 343명에서 2018년 299명을 기록해 처음으로 300명 밑으로 떨어졌다.
시는 오는 2020년까지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를 2.1명으로, 2022년까지 1.7명으로 낮출 계획이다.
우선 시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의 62%(299명 중 184명)를 차지한 '차 대 사람'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차량 제한 속도를 낮춘다. 간선도로는 시속 50km로, 이면도로는 시속 30km로 줄이는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실시한다.
무단횡단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나간다. 지난해 '차 대 사람' 사망 사고의 절반(96명)은 무단횡단으로 발생했다. 이에 시는 2018년 주요 간선 도로에 10곳의 횡단보도를 설치한 데 이어 올해 20개를 확충한다.
어르신 사망자 비율을 줄이기 위해 사고 빈발지역에 사고방지대책을 마련하고 맞춤형 교통안전 교육을 강화한다. 어르신 사망자 비율은 2010년 29%에서 2017년 41%까지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40%를 기록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고홍석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교통사고 통계분석을 통해 교통사고에 취약한 보행자, 어르신 등을 위한 교통안전 강화를 위한 맞춤형 교통안전 정책을 서울경찰청 등 관계기관과 함께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