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래리 헥 삼성전자 AI 연구센터 전무 "AI 시장, 개인화된 AI로 급속히 발전할 것"

삼성전자 미국 실리콘밸리 AI 연구센터 래리 헥(Larry Heck) 전무가 10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 미주 총괄에서 '삼성전자 AI 연구 방향과 비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산호세(미국)=구서윤 기자】"현재 초기 단계의 인공지능(AI) 시장이 향후 멀티 디바이스 플랫폼에 기반해 개인화된 AI로 급속히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삼성전자 미국 실리콘밸리 AI 연구센터 래리 헥(Larry Heck) 전무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 미주 총괄에서 '삼성전자 AI 연구 방향과 비전'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헥 전무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출신의 AI 석학이다.

헥 전무는 "현재의 AI 어시스턴트들은 사용자의 질문이나 요청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대화가 끊기고 활용도가 낮지만, 앞으로는 질의응답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 다양한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를 입수해 최적의 개인화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AI 어시스턴트들이 한 두개의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개발돼 있어 해당 디바이스의 사용성에 집중돼 있다면, 향후의 AI 플랫폼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기들과 함께 공존하는 형태로 발전해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진정한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그는 "이를 위해 보다 많은 기기들에 AI 플랫폼을 탑재해야 하고 각 디바이스들은 음성, 시각, 터치, 모션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유기적으로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 TV, 스마트가전, 스마트폰 등 커넥티드 디바이스들을 매년 5억대 이상 개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기술도 보유하고 있어 강점이 크다.

예를 들어, AI 어시스턴트를 통해 영화를 예매할 때 음성으로 특정 좌석을 선택하는 것은 어렵지만, TV나 냉장고의 스크린을 통해 좌석표를 보여준다면 보다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헥 전무는 "AI는 다양한 기기들과 그 기기들에 탑재된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과 니즈를 이해하게 될 때 배움의 속도가 빨라지고 정확도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삼성전자는 다양한 분야의 가전과 IT 제품을 통해 축적한 사용자 이해를 바탕으로 진정으로 개인화된 AI 발전을 목표로 할 것"이라며, "북미 AI센터들은 모든 사용자들의 삶에 편리함을 주고 삼성전자의 미래사업 발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AI 연구센터는 한국 AI 총괄센터를 포함해 미국(실리콘밸리, 뉴욕), 영국(케임브리지), 캐나다 (토론토, 몬트리올), 러시아(모스크바) 등 AI 기반 기술과 인재가 풍부한 7개 지역에 거점을 두고 있다.

삼성전자의 향후 AI 주요 추진 방향은 ▲철저하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저 센트릭' ▲지속적으로 학습해 성능을 높이는 '올웨이즈 러닝' ▲멀티 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를 지원하는 '올웨이즈 데어'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도움이 되는 '올웨이즈 헬프풀'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올웨이즈 세이프' 등이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글로벌 AI 연구센터를 주축으로 삼성전자는 음성인식, 로보틱스, 시각인식, 머신 러닝과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요소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북미에 있는 AI 연구센터들은 ▲음성인식과 시각인식을 기반으로 사람과 같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렉션 ▲보다 빠르고 손쉽게 AI 연구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개발자 툴 등 차세대 빅스비 선행 연구를 진행 중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