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14일 오전 서울 중구 남대문로 1가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14일 서울에 또 한 번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다. 수도권에서 이틀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는 것은 지난해 1, 3월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서울시가 지난 4년간 베이징시와 추진해온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이 성과없는 치적 쌓기가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하지만 서울시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중국 베이징시와 2014년부터 미세먼지 공동대응을 위해 노력해왔고, 그 결과 지난해 서울시 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7년보다 줄었기 때문이다.
이날 시에 따르면, 서울시 내 초미세먼지(PM2.5)는 대기질 오염 측정을 시작한 2002년 40㎍/㎥에서 2017년 25㎍/㎥로, 지난해에는 23㎍/㎥까지 줄었다. 미세먼지(PM10)는 2002년 76㎍/㎥에서 2017년 44㎍/㎥로, 2018년에는 40㎍/㎥로 감소했다. 서울시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시행해온 국내·외 대기질 개선 사업이 성과를 보고 있다고 시는 평가했다.
그러나 시민들은 여전히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직장인 임모(29) 씨는 "국내 미세먼지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서 온 거다"면서 "시민 불편을 가중시키는 미세먼지 정책을 펼 게 아니라 중국에나 항의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시가 미세먼지 발원지인 중국에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시는 2014년 베이징시와 '대기질 개선 공동합의문'을 발표하면서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양 도시 간 협력을 약속했다. 시는 중국에 ▲CNG 버스 보급 ▲공공차량 DPF(매연저감장치) 부착 사업 ▲저녹스 버너 보급 ▲도로분진 흡입차량 시험 운행 등의 협력사업을 제안했다. 2015년에는 대기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협력 전담조직인 '환경팀'을 서울-베이징 통합 위원회 내에 신설했다.
아울러 시는 2016년부터 몽골에 나무를 심어 황사와 미세먼지를 막는 '미래를 가꾸는 숲'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몽골 아르갈란트 솜 내 60ha 규모의 땅에 총 6만여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몽골 지역 내 나무의 평균 생존율이 50% 내외로 알려지면서 실효성이 없다는 여론이 거세졌다. 이에 시는 지난해 12월 26일 자동화 관수시스템을 도입해 생존율 71% 수준으로 나무를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2020년까지 몽골에 100ha에 나무를 식재해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높이겠다고 했다.
2017년에는 중국·일본·몽골의 주요 도시와 대기질 문제 해법을 찾는 '동북아 대기질 개선 국제포럼'을 개최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후 대기오염 방지 포럼 협력 7회, 동북아대기질 개선 국제포럼 7회 등을 실시했다.
그동안 중국 베이징시와 대기질 개선 협력이 논의에만 그쳤다는 지적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베이징시와 대기질 개선 공동연구단을 구성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또 양 도시에 고정연락관을 두고 대기질 정보를 공유하는 '미세먼지 핫라인'도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시 관계자는 "서울시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베이징시 등 동북아 국가들과 협력, 전방위로 노력하고 있다"면서 "대기질 개선과 같은 환경 문제는 시민이 체감하기까지 시간이 꽤 걸릴 수 있다.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