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설명회 모습./ 서울시
서울시는 정보화사업 846개에 총 2306억원을 투자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와 비교해 8.7%(185억원) 증가한 규모다.
정보화사업에는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이 포함됐다. 올해 추진되는 정보화사업의 주요 내용은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및 스마트서울 CCTV 관제시스템 설치(신규) ▲열린데이터광장 및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 고도화(개선) ▲블록체인 기술 5개 행정분야 적용(확대)이다.
주로 민간 기업을 통해 사업이 추진되기 때문에 침체돼 있는 경제에 활력을 주고 청년일자리 창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한국은행의 취업유발계수를 적용하면 총 2928개의 청년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 수다.
이를 위해 시는 공공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상암 클라우드 센터에 서울시 공공 빅데이터를 대용량으로 저장하는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를 신규 설치한다. 상암 S-Plex 센터에는 자치구, 경찰, 소방 등의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스마트 서울 CCTV 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긴급 상황 시 유관기관의 영상을 바로 볼 수 있어 골든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기존 서비스도 강화한다. 시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목상권 정보 분석 시스템인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의 인공지능 챗봇에 다양한 대화 시나리오를 추가로 개발해 활용도를 높인다.
블록체인 기술은 온라인 자격증명, 제로페이 연계 마일리지 통합, 서울시민 카드 통합인증, 하도급 대금 자동지급 등 공공서비스에 확대 적용한다.
시는 17일 오후 4시 서울시청 다목적홀(8층)에서 정보화사업의 사업계획과 발주일정 등을 안내하는 '2019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중소 ICT 민간기업에 공정한 사업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설명회는 누구나 사전 등록 없이 참여할 수 있다.
김태균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2019년을 스마트서울의 원년으로 정하고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한 혁신성장 사업 발굴과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