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수 자유한국당 의원이 23일 당대표 출마를 선언한 가운데 황교안 전 국무총리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한국당 내에선 황 전 총리가 당대표에 출마하지 않을 것이란 중론이다. 양승태 사법부 '사법농단' 의혹의 칼날이 황 전 총리를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당 고위 관계자는 "황 전 총리가 당대표에 출마하는 쪽으로 분위기를 몰아가다가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며 "황 전 총리 입장에서 상당히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황 전 총리의 불출마 이유는 양승태 사법부의 '사법농단' 의혹 때문이라고 전했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소송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법외노조 통보처분 행정소송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댓글 사건 재판 ▲옛 통합진보당 지방·국회의원 지위확인 행정소송 등 재판에 개입한 혐의 등으로 영장실질심사를 받고 구속 기로에 선 상황이다.
양 전 대법원장이 구속 기소되든 불구속 기소되든 황 전 총리도 사법농단 의혹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다. 황 전 총리는 박근혜 정부에서 제63대 법무부장관과 44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양 전 대법원장이 청와대와의 '재판 거래' 당시 징검다리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황 전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통진당 해산 등에 대해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통진당은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기 때문에 해산해야 한다'고 어려운 건의했다"며 "박 전 대통령은 '(해산심판 청구) 합시다'라고 결단했고 심판 청구했다"고 말했다. 역으로 해석하면 사법농단 정점에 황 전 총리가 있는 셈이다.
실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지난해 8월 검찰 조사에서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사건을 해결하라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차한성 전 대법관을 만났다"고 진술한 바 있다. 이 자리엔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과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 이병기 전 국정원장 등이 동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 전 총리가 갑자기 한국당에 입장한 이유도 사법농단 의혹에 본인이 연루될 경우 정쟁으로 이끌어 가려는 작전이라는 게 관계자 설명이다.
또다른 한국당 고위 관계자는 "황 전 총리가 당대표에 출마할 경우 '선거 메이커(선거대책본부장)'로는 윤상현 의원이 뛸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지난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한국당 대표를 지낸 홍준표 전 대표 선거를 도와 '선거공신'으로 부상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