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인구가 늘어나면서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 성인 돌봄과 같은 노인 대상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지는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유토이미지
오는 2045년 서울시민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일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사회서비스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50~60대는 운동시설을, 70대 이상은 건강시설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서울 인구 1006만8381명 중 노인인구는 140만5404명으로 전체의 14%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UN은 총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일 때를 고령화사회로, 14% 이상을 고령사회로, 20% 이상일 때를 초고령사회로 정의한다. 서울은 이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고령인구가 늘어나면서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 성인 돌봄과 같은 노인 대상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실태조사' 연구를 보면,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2015년 30.3%에서 2017년 52.8%로 2년 새 22.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성인돌봄 서비스'는 18.8%에서 34%로, 재활 서비스는 10.5%에서 26.2%로 약 2배 늘었다.
서울시가 시민을 대상으로 벌인 '서울복지 실태조사'에서 50대 이상 시민 4명 중 1명이 '노인복지관'을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50~60대는 노인을 위해 확충해야 하는 시설로 노인복지관(24.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운동시설(15.8%), 보건기관(14%), 요양시설(11.3%), 주간보호시설(9.5%), 가정방문서비스 기관, 경로당(8.6%), 노인전문 직업훈련·취업알선 기관(6.3%) 순으로 답했다.
70대 이상에서도 노인복지관(29.7%)이 가장 많았다. 가정방문서비스 기관(13.9%), 요양시설(13.3%), 경로당(11.5%), 운동시설, 보건기관(9.7%), 주간보호시설(6.7%), 노인전문 직업훈련·취업알선 기관(4.2%)이 뒤를 이었다.
50~60대는 운동시설의 욕구가 높은 반면, 70대 이상은 요양시설, 가정 방문서비스 기관 등 건강 관련 시설 확충을 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연구원이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노인복지관 면적당 생활인구 수가 주민등록인구 수보다 많았다. 특히 중구, 영등포구, 강남구의 편차가 컸다. 생활인구는 특정 조사 시점에서 서울에 머무르는 현재 인구로 시 거주자는 물론 업무, 관광, 의료 등 일시적으로 서울을 찾아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인구를 말한다.
윤민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사회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시기에는 일률적으로 지자체당 1개씩의 기관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며 "일괄적으로 사회서비스 기관을 설치함으로써 대상인구의 생활패턴이나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윤 연구위원은 "노인복지관이 자치구별로 위치해 있어도 해당 시설을 다른 인접지역에 거주하는 타 자치구 거주자가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노인들의 거주지가 활동지역을 뜻하지 않는다는 의미"라며 "향후 사회서비스 시설 공급 계획을 수립할 때 주민등록인구가 아닌 생활인구나 인구 유동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 시설의 위치를 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