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시와 은평구에 따르면, 광역자원순환센터 완전 지하화를 위한 타당성 및 기본계획 변경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가 2월 완료된다.(이미지는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유토이미지
서울시와 은평구가 광역자원순환센터 설치를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오는 2월 광역자원순환센터 완전 지하화를 위한 타당성 연구 용역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24일 서울시와 은평구에 따르면, 광역자원순환센터 완전 지하화를 위한 타당성 및 기본계획 변경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가 다음 달 완료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내달 중으로 마무리되는 연구 용역 결과를 보고 은평구와 협의해 사업을 추진해나가겠다"며 "주민들의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 백지화 요구가 계속되면 사업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는 진관동 76-20번지 일대에 약 1만8000㎡ 규모로 들어서는 재활용폐기물 선별시설이다. 하루에 재활용품 150t을 선별하고 생활폐기물 130t과 대형폐기물 25t을 적환할 수 있도록 계획됐다.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 사업은 지난 2000년 도시계획시설을 통해 진관동 일대에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기로 하면서 추진됐지만 예산 등의 이유로 10년 넘게 미뤄져 왔다. 2012년 은평구가 나서면서 사업에 가속도가 붙었다. 서북 3개구(마포구·서대문구·은평구)가 연합해 각 지역에서 나온 폐기물을 분담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은평구가 2016년 시설 건립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시작하면서부터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주민 반발이 거세졌기 때문이다. '은평 기피시설 건립 백지화 투쟁위원회' 등 지역 주민들은 악취, 비산먼지 등 환경오염 문제와 쓰레기 수거 차량으로 인한 교통난 등을 이유로 자원순환센터 설립을 반대하고 있다.
은평구에 거주하는 민모 씨는 "다른 지역 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을 왜 은평구에 짓냐"며 불만을 터뜨렸다.
은평구 관계자는 "은평구에 쓰레기 매립장, 소각장 등을 전부 지을 수 없어 서북 3개 구가 함께 쓰레기를 나눠서 처리하기로 했다"면서 "서대문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마포구는 소각 쓰레기를, 은평구는 재활용 쓰레기를 분담해 우리 구에 광역자원순환센터가 들어서게 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구 관계자는 "구 입장에서 보면, 쓰레기 처리 시설 중 오염 발생 요인이 가장 적은 시설을 설치하기 때문에 해당 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라며 "기피시설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3개구가 공동으로 나서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이다"고 말했다.
대기오염에 대한 우려에 대해 구는 "소각설비의 경우 해당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재활용을 선별하는 시설"이라며 "먼지나 냄새를 줄이기 위해 지하에 설치하고 악취 저감 시설과 탈취 설비 등 최첨단 시설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고양 삼송·지축지구 주민과 서울 은평뉴타운 주민으로 구성된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백지화 투쟁위원회'는 자원센터가 들어서면 하루에 쓰레기 차량 2000여대가 진·출입해 일대 교통을 마비시킬 것이라고 우려한다. 구에 따르면, 청소차는 자정 12시부터 새벽 6시까지 1분에 한대 꼴로 운행(90대, 392회 운행)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구 관계자는 "향후 쓰레기 대란이 왔을 때 오갈 데 없는 폐기물을 은평구에서 끌어안게 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며 "오는 2025년 수도권 매립지 폐쇄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으로 봐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