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카타르측 외교부 장관이 육상교통 협력 MOU를 체결하는 모습/청와대
[b]카타르 에너지부 장관, 'LNG선 60척 도입' 계획 밝혀[/b]
[b]카타르 "韓, 향후 LNG선 도입에 좋은 협력관계 기대"[/b]
[b]文, 타밈 국왕에게 'CNG(압축천연가스)버스 도입' 권유[/b]
문재인 대통령과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이 28일 오전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가운데, 양국이 이번 정상회담 때 논의한 내용들은 국내 제조업계에 희소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문 대통령과 타밈 국왕의 정상회담 후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출입기자단에 문자메시지를 통해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 핵심관계자에 따르면, 정상회담에 참석한 사드 빈 셰리다 알 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은 "카타르는 60척의 LNG(천연액화가스)선을 발주할 계획이 있다. 최근 유조선 대표단을 대한민국에 파견해 LNG선 도입을 조사했다. 현재 카타르는 50척을 보유하고 있으나 향후 60척 가량을 새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드 장관은 '카타르의 LNG선 60척 도입' 계획을 밝힌 후 "대한민국이 선박 발주 경험이 많고 기술력에서 정평이 났다. 향후 LNG선 도입에 좋은 협력관계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과 카타르는 반도국가로서 해운이 중요하다. 양국이 해운 및 항만 분야에서 상생발전할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다. 해운업은 최근 해양오염과 대기오염 등 문제로 친환경선박으로 전환되고 있다. LNG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으로 교체하면 LNG 수요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정상회담 후 이어진 공식오찬 때 우리나라 기업인으로 참석한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대표는 "(사드 장관 발언 관련) 카타르가 보유 중인 LNG선 50척 대부분이 우리나라 3대 조선소(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가 제작해 인도한 것"이라며 "새로 도입하는 60척도 우리나라가 우선적으로 검토될 것"이라고 했다.
조선업게에 따르면 작년 국내 조선 3사가 주력으로 수주한 '17만㎥ 규모 LNG선' 가격은 약 1억8500만달러다. 이는 약 2000억원이다. 이러한 가격을 비춰볼 때 카타르가 60척의 LNG선을 모두 우리나라로부터 도입한다면 12조원의 매출이 발생한다.
한편 이번 정상회담 때 문 대통령은 오는 2022년 월드컵 개최를 앞둔 카타르에 'CNG(압축천연가스)버스 도입'을 권유했다. 지난 2002년 월드컵 당시 CNG버스를 도입해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운행 중인 우리나라 경험을 문 대통령이 타밈 국왕에게 강조한 것이다.
이에 타밈 국왕은 "경제다변화를 통한 통한 국가발전을 추진 중"이라며 "대한민국 기업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동참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는 우리 기업들의 카타르 내 CNG버스 및 충전소 공급 사업 진출에 청신호가 켜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