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로 인한 식중독을 막기 위해서는 75℃에서 1분 이상 가열하고, 되도록 닭 육회와 같은 가열하지 않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29일 닭고기에서 검출되는 캠필로박터균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일반 캠필로박터균은 닭고기에서 약 3일 동안 생존하지만, 호기내성 캠필로박터균은 공기 중에 노출되어도 2주 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 이 균은 식중독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닭고기를 취급하거나 섭취할 때 특히 교차오염에 주의해야한다. 2003년 이후 캠필로박터로 인한 식중독 환자는 총 5722명으로, 여름철애 집중발생했다.
식약처 분석 결과, 시중에 유통되는 닭에서 분리한 캠필로박터균 가운데 40%가, 오리의 경우 30% 정도가 호기내성 캠필로박터균으로 확인됐다. 특히 호기내성 캠필로박터균은 일반 캠필로박터균에 비하여 병원성 유전자 비율이 2배 정도 높게 나타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캠필로박터균으로 인한 식중독을 막기 위해서는 닭과 오리를 야채 및 과일과 같이 가공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교차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닭고기의 전처리와 조리는 가장 마지막에 하는 것이 안전하다. 또 생닭과 다른 식재료는 도마, 칼을 구분해서 사용하고 닭고기 손질에 사용한 식기와 손을 깨끗이 닦을 것을 권했다.
닭고기 조리 시에는 캠필로박터균이 사멸되도록 중심부까지 완전히 가열(75℃, 1분 이상)하여 섭취해야 하며, 되도록이면 닭 육회 등 가열하지 않고 섭취하는 방법은 피해야 한다.
식약처는 "기후 변화 등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는 식중독균의 안전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국민들이 식품에 대하여 안심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