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기실사지수(업황BSI) 추이. /한국은행
반도체 부진 등으로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부진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BSI는 69(기준치 100)로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12월(72)부터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지수 기준으로는 지난 2016년 3월(68) 이후 2년 10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업황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기준치인 100 미만이면 경기를 비관하는 기업이 좋게 인식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제조업 BSI는 67로 지난해 12월(71)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다음 달 전망(65)은 전월 전망(71)보다 6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09년 4월(59) 전망 이후 9년 9개월 만에 최저치다.
업종별로는 일부 화학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화학이 11포인트 상승했으나 반도체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자·영상통신은 8포인트 떨어졌다. 자동차와 건설 등 전방 산업의 부진으로 고무·플라스틱도 13포인트 하락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BSI는 73으로 지난해 12월과 같았다. 반면 중소기업은 69에서 61로 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16년 8월(59)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중소기업의 다음 달 전망치도 전월(66)보다 7포인트 떨어진 59로 나타났다.
기업 형태별로는 수출기업 BSI가 전월보다 4포인트 하락한 71로 집계됐고, 다음 달 전망치는 9포인트 떨어진 68로 나타났다. 내수기업 BSI도 1월 66, 2월 59로 전월보다 각각 4포인트 하락했다.
비제조업 BSI는 전월(69) 대비 2포인트 하락한 71로 집계됐다. 항공서비스 이용 고객과 명절을 앞둔 택배 수요 증가로 운수창고는 9포인트 상승했으나 정보통신(-8포인트), 전문과학기술(-10포인트) 등에서 하락했다. 비제조업의 다음 달 전망(70)은 2포인트 떨어졌다.
다음 달 업황전망 BSI(70)는 도소매(-9포인트), 정보통신(-8포인트), 숙박(-13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2.7포인트 하락한 89.3을 기록했다. 기업과 소비자를 포함한 민간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파악하기 위해 BSI와 소비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지표다. ESI 순환변동치(91.4)도 0.8포인트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