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남부 지역의 상습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 중인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과 관련해 도로가 완공된 후에도 교통난이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31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서부간선도로 지하 4차선 터널과 서해안고속도로를 연결하기 위해 시에 4차선 고가도로 설치를 요구했지만 시가 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렇게 되면 민간투자 터널의 교통량이 늘어나 정체가 심해지고 통행료 수입만 증가하게 된다. 교통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민간기업의 배만 불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서부간선도로 지하화는 성산대교 남단(영등포구 양평동)부터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되는 금천IC(금천구 독산동)까지 왕복 4차로, 연장 10.33km 터널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현재 4차선 고속도로인 서부간선도로 지하에 추가로 4차선의 터널을 신설하는 게 해당 사업의 주 내용이다.
시는 서부간선지하도로가 완공되면 하루 5만대의 차량이 지하로 분산돼 지상도로의 차량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 자동차 전용도로인 지상도로를 일반도로로 변경했다.
당초 지상 4차선 고속도로와 지하 4차선 터널로 계획된 사업을 지상 4차선 일반도로와 지하 4차선 터널로 수정한 것이다.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서부간선지하터널이 끝나는 지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부분에 국토부 요청에 따라 시 재정으로 4차선의 입체교차로를 설치했어야 한다"면서 "시가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연결로 설치를 제외시켰다"고 지적했다.
위원회는 "지상의 고속도로를 신호등이 설치된 일반도로로 변경하면 지하터널의 통행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사업 노선 변경으로 PIMAC의 적격성조사를 다시 실시한다 하더라도 민간사업자의 노선에 엄청난 교통량을 집중시키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8차선의 서해안고속도로에서 올라온 교통량이 일반도로 4차선과 지하터널 4차선으로 연결돼 새로운 정체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고 위원회는 보고 있다.
서울시는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추진계획 검토 보고'에서 "양천구의 안양천길과 다르게 영등포, 구로, 금천지역은 서부간선도로로 인해 친환경시설과 단절돼 이용이 불편하다"면서 "서부간선 이면도로는 인적이 드물어 야간에 우범지대화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시는 "서부간선도로가 조성되면 생활권 단절문제를 해소해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했다.
위원회는 "서부간선지하고속도로가 설치되면 지상 도로에 신호등을 만들 수 있어 생활권 단절이 해결되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본 사업은 일부 유휴 공간을 확보해 친환경 공간을 조성해줌으로써 도시 환경을 개선하려는 것인데 이를 생활권 단절을 도로가 해결해주는 것처럼 과장하는 것은 타 사업에서 기존 도로의 지하화를 요구하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