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했다/청와대
[b]광주시청서 31일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 열려[/b]
[b]광주형 일자리, 노사민정 합의로 창출한 '첫' 일자리[/b]
[b]文대통령 "현대차, 사회책임 위해 불확실성에 도전"[/b]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광주에 발을 디뎠다.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하기 위함이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적정임금으로 기업투자를 유치하는 일종의 '노사 상생모델'이다. 이 모델은 노사민정이 머리를 모아 일자리를 창출하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이 찾은 광주형 일자리 협약식의 주연은 '정부기관' 광주시와 '기업' 현대자동차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노사 상생모델인 광주형 일자리의 첫 사례인 '완성차 합작법인 설립사업 추진'에 전격 합의했다. 광주형 일자리 협약식은 광주시와 현대차 합의의 연장선상인 셈이다.
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 협약식에 참석해 "입춘과 설을 앞두고 국민들게 희망을 드리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4년 반 동안의 끈질긴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드디어 광주형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게 됐다"고 운을 뗐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오늘 귀한 열매를 맺기까지 많은 수고가 있었다"며 "현대차는 '불확실성'이라는 도전에 맞서면서 일자리 만들기와 지역균형 발전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힘든 결정을 해줬다"고 현대차의 도전정신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이용섭 광주시장에 대해서도 "이 시장은 직접 협상단장을 맡아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면서 사회적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며 "기어코 광주형 일자리를 성사시킨 모두의 헌신에 경의를 표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는 '혁신적 포용국가'로 가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적정임금을 유지하면서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혁신적 포용국가'는 공정경제(불공정제도 개선)를 기반으로 혁신성장(공급 중심 정책)·소득주도성장(국민 소득 증가 정책)을 통해 '함께 잘사는 경제'가 구축된 사회를 뜻한다. 이는 '승자독식 경제'로 만들어진 사회·경제적 양극화의 해법으로도 불린다.
문 대통령뿐 아니라, 이원희 현대차 대표이사도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기대감을 밝혔다. 이 대표이사는 "향후 현대차는 사회적 역할을 다하고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 뜻 깊은 협약식에 참석한 대통령에게 다시 한 번 감사를 드린다. (또) 광주시와 현대차의 첫걸음이 성공적인 결실로 이어지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광주시는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형 일자리 기대효과' 관련 "광주시와 현대차의 '완성차 합작법인 설립사업'은 기존의 대립적이고 소모적인 노사관계를 탈피해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이어 "완성차 공장 신설법인은 약 1000명을 직접 고용할 예정이며, 향후 부품공장 추가 유치 등을 간접 고용효과까지 추산한다면 약 1만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와 현대차가 결의한 상생발전협정서에는 ▲적정임금 수준 유지 및 선진임금체계 도입, ▲적정노동시간 구현 및 유연한 인력운영, ▲협력사간 동반성장과 상생협력 도모, ▲노사간 협력을 통한 소통·투명 경영, ▲지역공동 협조체계 확보 등의 내용이 담겨졌다.
한편 이번 협약식에는 윤종해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광주본부 의장과 정창선 광주상공회의소 회장, 김동찬 광주시의회 의장, 김주영 한노총 위원장, 정병진 광주전남대학총학생협의회 의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문성현 대통령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장, 이목희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