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의료 공백이 생기는 설 연휴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했다.
갑자기 의식을 잃은 환자가 발생한 경우 즉시 주위에 도움을 청하고 119에 신고한 뒤, 맥박이 뛰지 않으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심폐소생술 과정을 잘 모르는 경우 무리하게 인공호흡을 시도하지 말고 가슴압박만 '강하고' '빠르게' 119가 올 때까지 실시하는 것이 좋다. 119에 전화를 한 경우 상황실 요원의 지시에 따라 심폐소생술 지도를 받을 수 있다.
음식물에 의해 기도가 막힌 경우, 환자가 기침을 할 수 있으면 기침을 하도록 하고,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도폐쇄에 대한 응급처치법(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성인의 경우, 환자의 뒤에서 감싸듯 안고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한 손은 주먹 쥔 손을 감싼 뒤 환자의 명치와 배꼽 중간지점에 대고 위로 밀쳐 올린다.
1세 이하 혹은 체중 10kg 이하 소아는 머리가 아래를 향하도록 허벅지 위에 엎드려 눕힌 후 손바닥 밑부분으로 등의 중앙부를 세게 두드리는 '등 압박'과, 양쪽 젖꼭지를 잇는 선의 중앙 부위 약간 아래를 두 손가락으로 4cm 정도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눌러주는 '가슴 압박'을 반복한다.
화상을 입었을 경우 통증이 감소할 때까지 화상 부위에 찬물을 흘려주고 물집이 터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가능한 응급처치 후 병원치료를 받는다. 얼음찜질은 하지 않으며 소주, 된장, 연고 등을 바르지 않는다.
응급처치요령은 '응급의료정보제공' 애플리케이션(앱)에서도 검색할 수 있다. 앱의 바탕 화면에서 심폐소생술 방법,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등을 검색하거나, 상황별 응급처치요령 안내 화면에서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독극물에 중독됐을 때, 화상을 당했을 때 등 상황별 응급처치법을 안내받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