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준비 여부 및 노후자금 준비 방법. /한화생명
2030세대 자영업자들은 같은 나이의 직장인들 비해 노후 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강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병에 걸렸을 경우 치료할 여유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6일 한화생명이 전문 리서치 기관을 통해 자영업자 200명, 직장인 10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 2030세대 자영업자의 28.3%가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는 동년배 직장인(14.5%)에 비해 2배나 높은 수치다.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방법도 자영업자는 예·적금, 주식 등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반면 직장인은 연금 활용 비중이 높았다. 자영업자들은 장기적인 자금 운용에 제약이 많기 때문에 장기 납입이 필요한 연금상품을 선호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건강관리'는 2030세대 자영업자의 주요 불안요소로 나타났다. 직장인의 일상생활 불안요소 1위는 재무관리(32.0%)로 집계된 반면 자영업자는 건강관리(28.0%)를 가장 큰 불안 요소로 택했다.
소비패턴도 같은 특성을 보였다. 건강과 관련해 카드사 통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건강식품을 구매를 위해 사용하는 연간비용이 직장인은 15만5000원 수준이었지만 자영업자는 38만9000원으로 2.5배에 달했다.
2030 자영업자들은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병으로 병원을 찾을 수 있는 여유는 부족했다. 한화생명이 자사 보험금 지급 건을 분석한 결과 입원을 1회 할 때 자영업자는 1.5회 통원했으나 직장인은 1.8회 통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입원 보험금 지급금액은 자영업자가 직장인보다 많았다. 입원을 동반한 연간 질병 의료비가 2030세대 자영업자는 173만원으로 직장인의 140만원 보다 더 많았다. 자영업자들은 통원으로 잔병을 치료할 기회가 적은 반면 한 번 병원을 가면 치료가 길어지거나 질병의 정도가 악화된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화생명 빅데이터팀이 2030세대 직장인과 자영업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해 한화 금융계열사 및 카드사 통계, 각종 SNS 데이터 등 약 3500만개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내놓은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