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美트럼프, 신년 국정연설 서 2차 北美회담 날짜·장소 발표[/b]
[b]靑 "베트남, 北美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기에 좋은 배경"[/b]
[b]문재인 대통령의 베트남행? 靑 "가능성 희박"[/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두 번째 정상회담이 오는 27일부터 28일 양일간 베트남에서 열릴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 밤 9시쯤(미국 동부 현지시간) 연방의사당 하원회의장에서 열린 신년 국정연설 때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전 세계에 알렸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오는 27일부터 28일 양일간 베트남에서 김 위원장을 만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베트남 내 어떤 도시에서 회담을 실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렇게 밝힌 후 "우리의 과감한 새 외교정책 일환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해 역사적인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북한에 억류된) 인질들이 귀환했고, 핵실험이 중단됐다. (또) 15개월 넘게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만약 내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지 않았다면, 내 생각엔 지금 당장 북한과 중대한 전쟁을 치르고 있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외교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연설을 놓고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그중 트럼프 대통령이 2차 북미회담에서는 북한 비핵화 문제를 매듭지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피력했다는 게 중론이다
청와대는 2차 북미회담 날짜와 장소가 확정되자 환영의 뜻을 표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6일 춘추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2차 북미회담 날짜와 장소를 확정한 것을 환영한다"며 "두 정상은 이미 싱가포르에서 70년간 적대의 역사를 씻어내는 첫 발을 뗐다. 이제 베트남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진전의 발걸음을 내딛길 바란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과거 미국과 베트남은 총과 칼을 겨눈 사이지만 이제는 친구"라면서 "북한과 미국이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기에 베트남은 더 없이 좋은 배경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실제 베트남과 미국은 지난 1964년부터 1975년간 베트남 현지에서 전쟁을 벌인 바다. 이후 2000년대 초반 양국은 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등 악화된 관계를 개선시켰다.
다만 청와대는 다가올 북미회담 관련 '문재인 대통령의 베트남행'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전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6일 취재진과 만나 "북미간 협상 진행에 따라 (문 대통령 베트남행)이 달렸다"면서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1차 북미정상회담은 지난해 6월12일 싱가포르 내 센토사섬에 위치한 카펠라 호텔에서 최초로 진행됐다. 당시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완전한 비핵화, ▲평화체제 보장, ▲북미관계 정상화 추진, ▲6·25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송환 등을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