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의 차기회장 선거가 2주 앞으로 다가왔다/수협중앙회
오는 22일 치러지는 수협중앙회의 차기 회장 선거가 '3파전'으로 흐를 전망이다. 전국 138만 수산 산업인을 대표하는 제25대 수협중앙회장을 놓고 치열한 각축이 예상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중앙회는 오는 8일까지 이틀간 수협중앙회 회장 후보자 등록을 진행한다. 현재 예비후보에 등록된 후보는 김진태 부안수협 조합장(62), 임준택 대형선망수협 조합장(62), 임추성 후포수협 조합장(61) 등 3명이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예비후보 등록 이후 후보자 등록을 거쳐야 선거에 출마할 수 있다"며 "등록을 마쳐야 알 수 있지만 큰 이변이 없다면 3명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오는 22일 수협중앙회장선거가 치러진다. (왼쪽부터)김진태 부안수협 조합장, 임준택 대형선망수협 조합장, 임추성 후포수협 조합장/수협중앙회
김진태 예비후보는 지난 2007년 부안수협조합장에 당선된 후 부안수협을 전국 5위권의 상위조합으로 성장시키고 12년 연속 흑자 운영을 해온 점이 강점이다. 김 예비후보는 "각 지역 회원조합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전국 각 수협장과의 소통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며 "어업 지원에 집중해 어업인이 모두 잘 살 수 있는 수산산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임준택 예비후보는 지난 2015년 대형선망수협 조합장에 당선된 후 지난해부터 부산공동어시장 대표 직무대행도 맡고 있다. 그는 대형선망업계 회생을 위해 휴어제와 감척사업에 국고 지원을 이끌어낸 추진력과 탄탄한 정·관계 네트워크가 강점으로 꼽힌다. 임 예비후보는 "매년 수 천 억원 규모의 은행수익에도 어민을 위해 쓰이는 돈은 없다"며 "공적자금 조기상환을 위한 정책을 이끌어 '더 강한 수협, 더 돈 되는 수산'이란 시대정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임추성 예비후보는 지난 1999년부터 후포수협 조합장에 당선된 이후 남다른 지도력과 통찰력으로 수협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그는 "어업 현장에서 배운 경험을 토대로 어민과 회원조합을 개혁하고 노량진 수산시장의 정상화를 이끌 것"이라며 "특정지역이나 특정학교에 편중되지 않은 능력위주의 인사, 회원조합이 부서를 평가하는 새로운 평가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선거전이 치열해지면서 프레임이 주요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지구별·업종별 구도, 지역적 구도에 따라 선거판도가 바뀔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구별·업종별 구도와 관련해선 상대적으로 많은 조합원을 보유한 지구별 조합 출신의 선출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현재 중앙회장 선거인단의 표는 총 92표로 지구별 수협이 70표, 업종별 수협이 20표, 수산물가공 수협이 2표다. 그러나 중앙회장 선거가 대의원제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조합장들에게 지구별 업종별 수협구분은 의미를 얻지 못할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지역구도도 변수로 떠오른다. 현재 3명의 후보 중 2명은 부산과 경북 출신이며, 1명은 전북 출신이다. 소속지역에 따라 조합장의 표심도 달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현 김임권 회장의 의중도 선거 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에 대해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회장뿐만 아니라 수협중앙회 임원까지 모두 공정한 선거를 위해 특정후보를 위한 행동이나 발설도 삼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수협을 잘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있는 인물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협중앙회장 선거는 오는 8일까지 후보자 등록 후 9~21일까지 선거운동기간을 거쳐 22일 치러진다. 당선인은 수협임원선거규정 제25조 규정에 따라 선거권자의 과반수 투표와 투표자수의 과반수 득표자로 결정된다. 선거권자는 수협중앙회장 1명과 회원명부에 올라있는 전국의 업종 지구별 수협 조합장 91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