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도 순한 저도주 제품이 대세
전통주 막걸리가 저도주 제품을 선보이며 소비자 입맛을 공략하고 있다. 술을 가볍게 즐기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여성과 젊은층을 위한 알코올 도수 4~5도의 저도주 제품이 시장의 새로운 대세로 떠올랐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막걸리 시장에서는 알코올 도수가 6~8도인 기존 제품과 달리 5도 또는 이하의 신제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지평주조는 지난 2015년 대표 제품인 '지평 생 쌀막걸리'의 알코올 도수를 기존 6도에서 5도로 낮춘 뒤 매출이 증가했다. 2010년 매출 2억원에서, 2015년 45억원, 2016년 62억원, 2017년 110억원, 2018년 166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인기에 지평주조는 '지평 생 쌀막걸리'를 편의점 GS25와 미니스톱 전국 주요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지편주조는 이번 편의점 판매 확대를 시작으로 전국의 업소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막걸리를 즐기는 일반 소비자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장수주식회사도 지난해 10월 신제품 '인생 막걸리'의 도수를 5도로 낮췄다. 이 제품은 서울장수가 22년 만에 선보인 생막걸리 신제품이다. 젊은 소비자의 취향을 겨냥해 보라색과 하늘색 등을 사용한 감각적인 포장 디자인 3종을 적용했다. 서울장수는 '인생 막걸리' 출시에 앞서 알코올 도수가 4도로 더욱 낮은 캔막걸리 '드슈'와 '막카오'를 출시하기도 했다.
국순당도 지난 2017년 5월 쌀과 커피를 사용해 만든 커피 막걸리 '막걸리카노'의 알코올 도수를 4도까지 낮춘 데 이어 지난해 5월 알코올 도수 5도짜리 막걸리 '1000억 유산균 막걸리'를 선보였다.
전통주 업계의 변화 노력으로 막걸리 시장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막걸리는 2000년대 중후반 선풍적 인기를 끌었지만 2012년 이후 성장세에 제동이 걸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2012~2016년 국내 막걸리 소매시장 규모는 3000억원 이었다. 그러나 2017년 국내 소매시장 규모가 3500억원대로 늘어나고 지난해도 3분기까지 3000억원을 넘기는 등 매출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1인 가구의 증가로 집에서 술을 가볍게 즐기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막걸리를 찾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며 "업계 전체가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