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정유4사, 지난해 4분기 1조 적자 '최악의 불황'…올해는?

국내 정유 4사가 지난해 4분기 통합 1조원이 넘는 적자를 나란히 기록했다. 국제유가, 정제마진 등이 발목을 잡았다.

국제유가는 지난해 3분기 배럴당 70달러 중반까지 올랐다가 이후로 떨어졌고 정제마진도 손익분기점을 하회하면서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정제마진은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 제품 가격에서 원료인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 비용을 제외한 금액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 4사들의 지난해 4분기 합산 영업손실이 1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4분기 SK이노베이션은 4분기 278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또 GS칼텍스는 2670억원, S-OIL 2924억원, 현대오일뱅크 1753억원 각각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번 실적은 4분기 유가 급락에 따른 대규모 재고평가 손실이 반영된데다 정제마진도 대폭 하락해 정유 사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4분기 평균 국제유가는 WTI 기준 58.7달러, 두바이유는 67.3달러로 전분기에 비해 큰 폭 하락, 재고평가 손실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정제마진은 2~3달러의 최저선을 유지하며 손익분기점을 상회했고 결국 적자로 이어지게 됐다.

올해 상황도 녹록치는 않다. 우선 정유사의 수익으로 이어지는 정제마진이 큰 폭으로 급감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11월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은 손익분기점 아래인 3.8달러로 떨어진 이후 계속 하락하고 있다. 지난달 평균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은 배럴당 2.5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정유사 손익분기점(4~5달러)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정제마진이 손익분기점 밑으로 떨어지면 석유제품을 생산할 수록 적자가 쌓이게 된다.

정제마진이 급락한 이유는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인한 세계경제 둔화는 물론 북미에서 생산하는 휘발유가 늘고있기 때문이다.

정유업계에서는 올 하반기 반등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우선 2020년부터 적용되는 국제해사기구(IMO) 황 함유량 규제로 인해 올 하반기부터 선박용 경유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저유황유 사용이 늘면 정제마진이 개선될 수 있다.

강동진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IMO2020 시행에 따라 올 하반기 디젤 마진 개선이 기대되며 가솔린 마진 역시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최근 국내 정유사들이 주료 사용하는 두바이유가는 브랜트유보다 더 저렴하기 때문에 하반기로 갈수록 국내 정유사들의 원가 경쟁력도 개선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