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이사가 새해를 맞이해 문재인 대통령과 한 달 사이에 '두 번' 만남을 가져 여론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김 대표는 문 대통령과 지난달 15일 '대기업·중견기업인들과 간담회' 때와 7일 '1세대 벤처기업인 간담회' 때 만났다. 공교롭게도 두 사람의 만남은 모두 청와대에서 이뤄졌다.
김 대표는 7일 청와대에서 열린 '1세대 벤처기업인-유니콘 기업인 초청 간담회'에 초대 받았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과 '벤처투자'와 '혁신창업'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청와대 측에 따르면, 이번 간담회는 기술과 혁신으로 초고속 성장을 이룬 1세대 벤처인들로부터 '벤처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대표는 지난달 15일에도 문 대통령을 만났다. 당시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기업·중견기업인들과 간담회가 열렸고 김 대표가 참석한 것이다. 이때 김 대표는 문 대통령 옆 자리에 착석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 옆에 젊은 기업인들을 배석하게 됐다. (또) 김 대표는 게임·IT기업 대표주자이기도 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과 한 달 사이 두 번 만남을 가진 김 대표는 1967년으로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김 대표는 대학 재학 당시 '한글과컴퓨터(소프트웨어)'를 만든 장본인 중 한명이다. 그는 1997년 엔씨소프트를 창업, MMORPG(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리니지'를 출시해 유명 기업인으로 이름을 알렸다.
아울러 문 대통령과 한 달 사이 두 번 만남을 가진 김 대표의 행보는 4대 그룹 총수들이 밟지 못한 행보이기도 하다. 실제 '재계 서열 1위' 삼성전자의 이재용 부회장도 새해 들어 문 대통령과 공식적으로 두 번 만남을 가진 적이 없다. 이 회장이 새해 들어 문 대통령과 만남을 가진 적은 지난 15일 대기업·중견기업인들과 간담회가 아직까지 전부다. 비공식 만남으로는 지난달 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문 대통령 신년사 행사가 있을 뿐이다. 이 부회장뿐 아니라, 다른 4대 그룹 총수들도 마찬가지다.
한편 이러한 상황을 비춰볼 때 문 대통령이 '대기업 중심 일자리 창출'보다 '혁신창업 중심 일자리 창출'에 '고용 무게추'를 뒀음을 유추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7일 김 대표를 비롯해 1세대 벤처인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 정부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약속하면서 성장동력을 '혁신성장'에서 찾고 있다. 혁신창업이 활발하게 이뤄져야 된다. 그렇게 창업된 기업들이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하도록 그런 창업 생태계가 활발해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