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북한/한반도

[하노이회담 리허설/3] '韓서울·부산-北신의주-中-EU' 잇는 철도사업 모락모락

문재인 대통령이 작년 8월15일 광복절 행사에 참석한 모습/청와대



[b]하노이회담 때 잠든 '아시아-유럽 잇는 철도사업' 깨어나나[/b]

[b]文 "남북간 철도·도로 연결 떠맡을 각오"… 트럼프 "훌륭한 대화"[/b]

[b]국제철도협력기구에 작년 6월 가입한 韓, 글로벌 철도사업 준비 '끝'[/b]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사적인 2번째 회담이 오는 27일부터 28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예정이다. 전 세계의 시선도 두 정상 만남에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 만남에는 북한과 한민족인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과 다수 유럽 국가들이 촉각을 곤두세웠다. 다가올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는 포괄적으로 '서울·부산→북한 신의주→중국→유럽'을 잇는 철도사업이란 결과물이 잠들어있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북한과 미국이 어떻게 '핵 담판'을 짓느냐에 따라 좌우된다는 게 외교계 중론이다. 앞서 남북 정상은 작년 4월27일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북간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를 합의했다.

아시아와 유럽을 하나로 잇는 철도사업은 해당국가들간 공감대가 이미 형성됐다.

우선 중앙아시아 및 유럽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11월23일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은 철도사업을 논의했다. 당시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 겸 신북방경제협력위원장은 "당장 북한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부산항과 유럽을 철도로 연걸하는 '철의 실크로드'는 양국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 고려인들이 강제이주 당한 '눈물의 철길'이 아니라, 이제는 '상호번영의 철길'이 되도록 두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노력하겠다"고 했다. 신북방정책은 러시아를 비롯해 우즈베키스탄, 몽골 등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으로 미국·중국에 의존 중인 현재 외교를 다변화시켜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외교전략이다.

실제 우리나라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철도사업을 이뤄내기 위해 작년 6월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정회원에 가입했다. 이 가입을 통해 중국횡단철도(TCR)과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등 28만km에 달하는 국제철도노선 운영에 우리나라가 참가할 수 있게 된 것. 더욱이 이 기구에는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해 몽골·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국가와 라트비아·불가리아·폴란드·헝가리 등 유럽국가, 중국과 러시아 등 강대국이 회원국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은 중국이다. 문 대통령은 작년 5월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 후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회담을 가졌다. 문 대통령과 리커창 총리는 당시 회담을 통해 '서울-신의주-중국'을 잇는 철도사업 공감대를 형성했다. 두 사람은 공감대 형성 후 국제사회가 북한으로부터 '일방적 요구'를 할 게 아니라, 비핵화 실현 시 '체제 보장' 및 '경제개발 지원' 등 미래를 보장해야 한다는 부분에도 공감대를 이뤘다. 문 대통령은 그해 8월15일 광복절 경축사 땐 "경의선과 경원선 출발지인 용산에서 저는 오늘 '동북아 6개국-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제안한다. 이 공동체는 동북아 상생번영의 대동맥이,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로 가는 출발점"이라고 했다.

시간이 흘렀다. 그리고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철도사업에 구체적인 청사진이 그려지는 중이다.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1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동아시아철도공동체 비전과 추진 방향' 국제세미나 때 철도사업 청사진을 제시했다. 안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다롄-선양-창춘-하얼빈(921km)'과 '선양-평양-개성-서울(695km)'를 잇는 게 철도사업 초안이다. 이러한 정황상 다가올 북미회담 때 어떤 성과물이 나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철도사업을 바라보는 미국의 반응도 나쁘지 않다.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밤 10시부터 35분간 트럼프 대통령과의 2차 북미회담 협조를 골자로 한 통화에서 "남북 사이의 철도·도로 연결부터 남북경제협력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요구한다면 그 역할을 떠맡을 각오가 돼 있다"고 했다. 이어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견인하기 위한 상응조치로서 '대한민국의 역할'을 활용해야 한다. 그것이 미국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길"이라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통화 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아침 문 대통령과 훌륭한 대화를 나눴다. 우리는 다가오는 베트남 하노이 여정에 대해 논의했고 그것은 좋은 대화였다"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