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이 훈훈한 주주환원 정책으로 눈길을 끈다. 지난해 주식배당과 무상증자에 이어 현금배당을 결정하면서, 수익성 악화 속에서도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2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은 오는 3월 주주총회에서 현금배당을 의결할 예정이다.
올해 1조5000억원의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한 유한양행은 보통주 한주당 2000원, 우선주는 주당 2050원의 현금배당을 하기로 결정했다. 배당총액은 227억원이다. 현금 배당 규모는 2018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보통주와 우선주 모두 주당 0.05주를 지급하는 무상증자 시행한 바 있다.
JW중외제약의 주주 친화정책도 눈에 띈다. JW중외제약은 올해 보통주 한주당 325원, 우선주 한주당 35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69억원으로, 지난해보다 늘어났다. JW중외제약은 지난 2018년 보통주 한주당 275원, 우선주 300원을 배당했다. 이 회사는지난해 주당 0.02주 주식배당을 진행했으며 지난해 9월에는 주가 안정을 위해 22만주 자사주를 취득해 소각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주주 가치를 높이고 있다.
GC녹십자는 올해 보통주 주당 1000원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배당총액은 114억원이다. GC녹십자는 지난해 올해보다 소폭 많은 주당 1250원을 배당한 바 있다.
종근당은 오는 3월 보통주 1주당 900원의 현금배당을 의결한다. 배당총액 88억원으로 지난해와 같은 규모다. 종근당은 지난해 12월 보통주 1주당 0.05원의 무상증자를 결정한 바 있다.일동제약 역시 보통주 1주당 4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배당총액 86억원이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보통주 1주당 0.05주의 무상증자를 진행했다.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무상증자나 주식배당은 주식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현금배당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주주에 환원하는 효과가 배가된다"며 "앞으로 회사 실적이나 가치에 대한 자신감도 있지만 수익성 악화에도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