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서울시
개인회생 신청자의 10명 중 2명은 1억원 이상의 채무액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복지재단 내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개인회생 채무자 1대1 맞춤형 신용관리교육 수료자 8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개인회생 신청자들의 채무액은 '1억원 이상'이 24.9%로 가장 많았다. '5000만~1억원 미만'이 23.9%로 뒤를 이었다. 특히 개인회생 신청자의 65.1%가 연 20%가 넘는 고금리 채무에 시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들이 최초로 대출받은 금융기관은 '은행'이 44.9%로 가장 많았다. 은행 외 기관 중에서는 '카드사'(30.5%)를 꼽은 비율이 높았다. 최초 대출을 이용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은행에서 거절당해서'(34.5%), '은행보다 편하고 신속한 대출이 가능해서'(33.2%) 순으로 응답했다.
부채가 증가한 원인으로는 '낮은 소득'(18.6%)이 가장 많았다. '지출 과다'(18.6%), '사업실패'(18.3%), '가족 또는 지인의 부탁으로 채무대여'(11.3%)가 뒤를 이었다.
채무 돌려막기를 멈추지 못한 이유로는 '해결될 것으로 생각돼서'(26.5%), '연체로 인한 추심이 두려워서'(25.3%), '해결방법을 알지 못해서'(19.7%) 순으로 나타났다. 악성 부채 해결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과 추심에 따른 두려움이 채무 돌려막기의 주원인으로 파악됐다고 센터는 설명했다.
개인회생 과정에서 채무 외 추가채무가 발생한 비율은 19%(170명)이었다. 이들의 추가채무 주요 원인으로는 '소득감소'(28.1%), '지출관리 미흡'(19%) 등이 꼽혔다.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재무상담, 금융교육 등 '가계부채 확대 예방' ▲채무조정 서비스 등 '가계부채 규모 관리' ▲시민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 연계' 등의 금융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앙센터를 포함해 시청, 성동, 마포, 도봉, 금천, 영등포, 양천, 송파, 중랑, 구로, 성북, 관악, 노원 등 14개 지역센터가 각 자치구에 위치해 있다. 센터에는 금융·법률·사회복지 전문가로 구성된 금융복지상담관이 상근하고 있다.
박정만 센터장은 "899명이라는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회생의 성공사례를 최초로 조사했다"며 "채무조정의 길고 힘겨운 터널을 헤쳐나온 분들이 새 출발을 할 수 있도록 센터는 채무자들의 경제적 재기를 지원하는 한편 악성 부채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