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5당 원내대표, '대치정국' 해소 논의
민주당-한국당 입장차 고수…냉전 이어져
문희상 의장 "국회 공전, 최종책임은 여당"
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5당 원내대표가 25일 대치 정국 해소를 위해 회동했으나 절충점을 찾지 못하고 해산했다. 2월 임시국회를 날렸지만,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견해차를 좁히지 않아 3월 국회 일정도 진통을 겪는 모양새다.
문 의장과 홍영표 더불어민주당·나경원 자유한국당·김관영 바른미래당·장병완 민주평화당·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국회 정상화 ▲제2차 북미정상회담 지지 성명 여부 ▲선거제도 개편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들은 이날 제2차 북미정상회담과 한국당 전당대회 등 큰 행사로 사실상 물 건너간 2월 국회 대신 3월 임시국회 일정 등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하지만 한국당은 여전히 손혜원 의원 부동산 투기 논란에 대한 국정조사 등을 국회 정상화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고, 민주당은 거절하면서 냉전은 계속됐다.
앞서 나 원내대표는 "최소조건만 맞으면 3월 국회에 응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날 회동 후 "봄은 왔는데 국회에는 봄이 안 온다. 진행된 것이 없다"고 말한 후 자리를 떠났다.
양당의 갈등으로 '북미회담 지지 성명' 여부와 '선거제 개편' 등 논의는 꺼내지도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계성 국회 대변인은 "(이번 회동에서) 홍 원내대표와 나 원내대표 사이 긴 설전이 이어졌다"며 "추가로 더 논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2차 북미회담에 대한 결의 논의는 국회 정상화 부분에 논의가 집중돼 토론하지 않았다"며 "결론이 나면 다시 말씀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여야 중재에 나섰던 문 의장도 인내가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원내대표 중 회담장에서 가장 늦게 나온 바른미래당 김 원내대표는 "(문 의장은) 어떤 의견에 대해서도 말씀을 하지 않으셨다"면서도 "국회가 공전하고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것에 대한 최종 책임은 여당이 지는 것이기 때문에, 여당이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여야가 3월 국회에 대해 극적 합의를 이뤄도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의문이다. 오는 27일부터 열릴 2차 북미회담 결과에 대해 입장차를 보이며 갈등이 심화할 수도 있고, 다음 달로 다가온 3·1운동 100주년 행사 등으로 의원들이 외부 행사에 집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18일 여야 3당 원내대표는 가장 시급 사안인 '2월 국회 개회' 여부 등에 대해 논의했지만, 입장을 고집하다 1시간도 되지 않아 흩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