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26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3·1운동과 학생운동, 의병, 국내·외 항일운동 등에 기여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333명을 발굴해 표창한다" 고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26명(애국장 8·애족장 18), 건국포장 10명, 대통령표창 297명으로, 이 중 여성 75명이 포함됐다. 훈·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100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각각 수여된다.
중앙기념식장에서는 ▲1908년 강원도 영월에서 의병 모집 활동 중 징역 2년형을 받은 김현습(건국훈장 애족장) 선생 ▲1936년 중국 상하이에서 한인애국부인회 간부로, 각종 기념일에 전단 인쇄와 배포 등의 활동을 한 안혜순(건국포장) 선생의 손·자녀에게 각각 표창이 전수된다.
보훈처는 그동안 입증자료가 없어 포상이 보류됐던 독립유공자들을 관계기관과 협업을 통해 적극적으로 발굴했다.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태형을 받은 홍재택 선생은 이번에 대통령 표창이 추서된다. 10년 전에 홍 선생의 후손이 포상을 신청했으나 공적을 뒷받침할 만한 객관적인 입증자료가 없어 포상이 보류됐다. 홍 선생은 평범한 농민으로 50세 때인 1919년 3월 중순경 경기도 용인 수지면에서 마을 주민들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돼 태형 90대에 처해졌다.
이에 경기동부보훈지청은 용인시 수지구청의 협조를 받아 제출한 '범죄인명부'에서 독립운동 사실이 확인돼, 이번에 포상이 이뤄지게 됐다.
용인 수지면에서는 선생 외에도 윤만쇠, 이달순, 강춘석, 권병선, 김영석, 정원규, 이희대, 천산옥, 진암회, 김원배, 김현주, 남정찬, 최충신, 이도해 선생 등 14명에게 동일한 공적으로 대통령표창이 추서된 바 있다.
국가보훈처는 앞으로도 독립기념관을 비롯한 관련기관과 사료수집 협업 체제를 강화해,알려지지 않은 무명 의병과 여성 등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더욱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