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제재 완화 등 비핵화 상응조치 요구할 듯
美, 핵시설 폐기 더불어 비핵화 로드맵 제시 예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차 '핵 담판' 주사위가 던져졌다.
26일 오후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한 양 정상은 27~28일 이틀간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진행한다.
양 정상은 2차 회담에서 지난해 싱가포르에서 발표한 '센토사 합의'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확인하고 최종협상을 통해 '하노이 선언'을 담아낼 계획이다. 앞서 센토사 합의는 ▲완전한 비핵화 ▲평화체제 보장 ▲북미관계 정상화 추진 ▲6·25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송환 등 내용을 담았다.
미국은 이번 회담에서 주요 의제로 ▲모든 핵·미사일 프로그램 동결·검증 ▲영변 핵시설 폐기 ▲완전한 핵 폐기를 위한 로드맵 등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요구할 예정이다.
북한은 ▲종전선언 ▲평화체제 구축 논의 ▲연락사무소 개설 ▲제재 완화 등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 협상 진행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부 사안에 있어 이견이 좁혀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는 지난 6일 평양에서의 협의에 이어 21일부터 하노이에서 닷새 연속 만나 합의문 조율 작업을 실시한 바 있다.
특히 제재 완화와 맞물려 금강산 관광 재개와 개성공단 재가동, 남북 철도 연결 등 남북 경제협력 사업이 북한에 제공할 상응조치의 일부로 제시됐을 가능성도 있다.
또 미국이 상응 조치로 종전선언과 연락사무소 개설을 합의문에 담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외교가 중론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에서 종전선언이 의제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종전선언의 형태가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으나 북미 사이에 얼마든지 합의될 가능성은 있다"고 답했다.
또 "남북이 9·19 군사합의 등으로 사실상 종전선언을 한 상황이기 때문에 북미의 종전선언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양 정상이 이번 회담에서 어떤 합의를 하느냐에 따라 한반도 비핵화 속도에 탄력이 붙고 화해·평화 분위기가 뿌리내릴 전망이다.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냉전·교착상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