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4일 국회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여야 당대표도 정국 해소에 나서는 모양새다. 다만 야당은 3월 임시국회 가동에 환영하면서도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신속처리안건(패스트 트랙)'으로 지정해야 한다며 압박에 나섰다.
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5당 원내대표는 이날 '초월회' 모임을 갖고 3월 임시국회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문 의장은 파행했던 국회가 여야 합의로 정상화된 데 대해 "본격적으로 싸움이 시작됐다는 점에서 두근두근 해지는 봄"이라며 "국회는 열려야 하고, 싸우더라도 국회 안에서 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문 의장은 "개혁입법과 민생입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3월 국회가 성공할 수 있도록 각당 대표의 각별한 지지와 성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자유한국당이 국회 개회를 협조한 것은 대단히 잘한 일"이라며 "국회에서 여러 가지 민생입법을 잘 다뤄 좋은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당 수장이 된 소감부터 밝혔다. 황 대표는 "시간이 지나면 첫사랑을 잃어버린다고 하는데, 초심을 잃지 않겠다"며 "중심을 잘 잡고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고 소회했다.
이번 국회 합의에 대해선 "국회가 오랜 공복기 후 열었다가 다시 열었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며 "국민에게 필요한 것을 빨리 입법화해 생산적인 국회가 됐으면 좋겠다. 한국당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은 국회 정상화를 환영하면서도,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신속처리안으로 지정하기 위한 투쟁을 예고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민주주의를 위해 정당 간 평화와 공존, 합의하는 문화가 있었으면 좋겠다"면서도 "황 대표가 선거제 개혁에 대해 확고한 의지가 있는 만큼 입장을 발표해달라"고 압박했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도 "3월 국회가 열려서 다행"이라면서도 "선거제 관련 현안이 이번 주를 지나면 물 건너간다"며 "한국당도 10일까지는 (입장에 대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고언했다.
이번 선거제도 개정안을 내년 4월 21대 총선에 도입하기 위해선 오는 10일 전까지 '신속처리안건 제도(패스트 트랙)'를 적용해야 한다. 패스트 트랙 처리 시 본회의에 자동 상정되기까지는 최장 330일(상임위원회 180일·법제사법위원회 90일·본회의 60일)이 걸린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밥만 먹고 하는 일이 없다는 지탄을 받았다"면서도 "여야 당대표가 선거제에 합의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적기를 상당히 놓쳤다"며 "(선거제 신속처리안 지정을 위해) 밤을 새워서라도 얘기를 하자면 언제든지 준비돼 있다"고 밀어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