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2년까지 초등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우리동네 키움센터'를 400곳으로 늘린다고 6일 밝혔다.
학교를 마친 후 갈 곳이 없어 학원을 전전하는 아이에게는 친구와 놀면서 쉴 공간을 만들어 주고, 맞벌이 부모에게는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 보편적 돌봄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기존 지역아동센터가 돌봄취약 아동으로 이용대상이 한정된 것과 달리 우리동네 키움센터는 전체 초등학생(만 6~12세)이 대상이다. 개인 일정에 따라 요일별, 일별 이용시간을 정할 수 있다. 미리 센터에 등록한 경우라면 긴급한 돌봄 수요가 발생했을 때 일시이용도 가능하다. 이용료는 10만원 이내다. 센터별 운영위원회에서 자율적으로 정한다.
'서울시 온마을 돌봄체계 구축 기본계획'은 ▲틈새 없는 초등 돌봄체계 구축 ▲양육가정의 고립육아 해소를 위한 아이돌봄서비스망 강화 ▲돌봄자원 전달체계 개선의 3개 분야로 추진된다.
우리동네 키움센터는 지난해 4곳에 첫선을 보인 데 이어 올해 94곳이 새롭게 문을 연다. 시는 2022년까지 400개소를 확충, 서울에 거주하는 맞벌이 가정 넷 중 셋은 공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현재 초등돌봄 서비스 이용 비율은 13.9%이다. 이를 시는 3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시는 올해 신규개소 예정인 94개소 중 35곳 선정을 완료했다. 현재 공간 조성에 착수했다. 각 센터별로 돌봄선생님과 관리자가 상주한다. 돌봄과 함께 놀이·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시는 이달부터 '온마을 아이돌봄 추진지원단'을 운영한다. 지원단은 센터 운영 컨설팅과 매뉴얼 개발,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시스템 구축, 센터 운영성과 평가 등을 담당하게 된다.
시는 아이돌보미, 열린육아방(공동육아나눔터), 거점형 시간연장 어린이집도 늘려 아이돌봄 지원망을 보완한다. 아이돌보미는 현재 3000명에서 2022년까지 8000명으로 확대한다. 영유아와 부모를 위한 열린육아방은 향후 3년간 450곳으로 10배 이상 늘린다. 야간 보육이 필요한 가정을 위해 시간연장 어린이집을 지정·운영한다.
서울지역 내 아이돌봄 자원과 서비스, 이용 가능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는 통합정보포털 '키움넷'(가칭)을 11월부터 운영한다.
박원순 시장은 "아이를 낳고 기르는 문제를 더 이상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지 않겠다. 우리 사회가 함께 손을 맞잡고 풀어가야 할 모두의 과제"라며 "아이를 온마을이 함께 키운다는 목표하에 아이들이 존엄과 자율성을 존중받으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민주 시민으로 자라나도록 돕는 일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