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LG전자, 2019년형 TV 공개…'투톱'으로 부족한 이유

LG전자는 인공지능을 강화한 2019년형 TV를 발표했다. /LG전자



LG전자가 2019년형 TV 라인업을 발표하고 시장 주도권 확보에 도전한다. 무기는 올레드 TV와 인공지능. 그러나 롤러블TV를 제외하면 큰 특별함이 없는 탓에 TV 시장 '투톱'으로는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LG전자는 6일 서울 LG사이언스파크에서 2019년형 LG TV 신제품 발표행사를 열었다. 권봉석 MC/HE 사업본부장과 최상규 한국영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LG전자 신형 TV는 인공지능 홈보드를 적용해 IoT 기능을 지휘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LG전자



◆씽큐 TV, 거실 지휘자로

이날 발표된 주요제품은 LG올레드 TV AI 씽큐와 LG 슈퍼 울트라HD TV AI 씽큐 등이다. 2세대 인공지능 프로세서 알파9을 장착해 더 똑똑해졌다.

핵심 기능은 영상이다. 원본 영상을 분석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명암비와 채도를 조정해 입체적인 영상을 구현한다.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 해줄수도 있다. TV 주변 밝기를 감지해 HDR 조절도 가능하다.

사운드 역시 만들어준다. 2채널 음원을 5.1채널 서운드 사운드로 바꿔주는 것뿐 아니라, 콘텐츠 종류에 따라 이퀄라이저 조절도 해준다. 뉴스에서는 목소리를 올려주고, 영화에서는 효과음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이같은 기능은 딥러닝 방식을 통해 계속 업그레이드 된다는 설명이다. 알파9 프로세서 덕분, LG전자는 직접 프로세서를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LG전자는 2019년형 전 모델에 '인공지능 홈보드' 기능을 새로 적용했다. TV가 스마트 가전을 모니터링하고 컨트롤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사물인터넷 국제표준 OCF 연동 기능을 지원하면 어떤 기기든 연결할 수 있다. TV가 집을 지휘하게 된 셈이다.

음성인식 기술도 대폭 강화됐다. 가장 큰 변화는 연속 질문을 이해할 수 있게된 것이다. 프로그램 찾아달라고 한 후 결과내 검색을 요청하거나, 시간과 장르 등으로 카테고리 분류도 가능하다.

지원하는 인공지능도 다양하다. 네이버 '클로바'와 '구글 어시스턴트', 애플 '에어플레이2'와 '홈킷'도 사용할 수 있다.

(왼쪽부터) TV상품기획담당 김상열 전무, MC/HE사업본부장 권봉석 사장, 손대기 한국HE마케팅담당. /LG전자



◆올레드·LCD 리더 확고히

이날 권봉석 사장은 지난해 올레드 TV 매출 비중이 20%를 상회했다고 밝혔다. 올해에는 25%를 목표로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올레드 TV 선구자임을 증명하듯, LG전자는 2019년형 올레드 TV에서 디자인 혁신을 통해 시장 확대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가장 주목받는 제품은 롤러블 TV다. 지난 CES2019에 처음 공개됐으며, 올 하반기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아직 가격은 논의 중이라는 설명이다.

월페이퍼 디자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W'에 이어 스탠드를 숨긴 E9 시리즈도 새로 내놨다. C9 시리즈도 스탠드 노출을 최소화해 공간과 어우러지는 디자인 철학을 이어갔다.

8K 올레드 TV도 올해 나온다. 올레드 TV 중 가장 큰 88인치로 출시된다. 고화질 콘텐츠 전송 규격인 HDMI 2.1과 무선스피커 규격 와이사 등도 적용했다.

LCD 시장에서도 도전을 이어간다. 바로 독자개발한 '나노셀' 기술이다. 슈퍼 울트라 HD TV AI 씽큐가 바로 나노셀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약 1나노미터 크기 미세 분자가 색 파장을 정교하게 조정한다. 어느 각도에서도 정확한 컬러와 화질을 구현하게 했다. LED 배치를 촘촘하게 만들고 광원 제어도 정교하게 만들어 명암비도 높아졌다. 프로세서는 2세대 인공지능 알파7이 적용된다.

◆아직 먼 '투톱'

단, LG전자는 신형 TV에서도 경쟁사인 삼성전자를 앞서기에는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당장 인공지능 혁신이 그리 새롭지 않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업스케일링과 IoT 기능 등은 삼성전자에서 이미 지난 해 발표했던 것과 차이가 없다. 롤러블 TV를 제외하면 디자인에서도 큰 변화가 없었다.

대형 라인업 경쟁력 부재도 우려됐다. LG전자는 55와 66인치 올레드 TV를 주력으로 한다. 그 이상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낮다. 95인치 QLED와 80인치 이상 마이크로 LED TV를 준비하는 삼성전자와 비교하면 라인업도 적다. 대형 TV가 인기를 얻는 시장 분위기를 감안하면 뒤쳐진 모습이다.

8K 해상도 제품에도 별다른 전략을 내놓지 못했다. 8K 협의체 가입 역시 지켜봐야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삼성전자가 적극적으로 8K 시장을 개척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팔로워'에 불과한 모습이다.

'포스트 올레드' 계획도 미흡했다. LCD는 완벽한 블랙을 표현하지 못한다고 하면서도, 미래 전략으로는 나노셀을 기반으로 한 LCD TV를 꼽았다. 삼성전자가 마이크로 LED와 QD-OLED 개발에 한창인 상황과 대비됐다.

우선 LG전자는 올해 LG디스플레이가 대형 올레드 패널을 생산하는 10.5세대 공장을 가동하면 규모의 경제를 실현, 대형 라인업에서도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8K 제품도 아직 콘텐츠가 부족한만큼, 시장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아직 8K 규격도 확정되지 않은 만큼, 완벽하게 준비하겠다는 포부도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