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미세먼지 습격으로 골프장 '비상'..회원들 취소문의 이어져

#서초동에 사는 김모씨(66세)는 지난 3일 친구들과 경기도의 한 골프장을 찾았다. 정해진 시간에 맞춰 티오프를 준비하던 중, 눈이 따갑고 심하게 기침이 나기 시작했다. 시야가 흐릴 만큼 가득 찬 미세먼지가 원인이었다. 평소 호흡기가 좋지 않았던 김 씨는 라운딩을 포기했다. 하지만 골프장측은 라운딩을 취소할 경우, 2개월 예약 정지 패널티를 적용하겠다고 했다. 미세먼지는 취소 가능한 자연재해에 포함되지 않아 적용이 어렵다는게 골프장측 입장이다. 김씨는 "미세먼지가 건강을 위협할 만큼 심하다면 골프장들이 예약 취소 규정에 미세먼지도 포함시켜야하는거 아니냐"고 주장했다.

전국 골프장이 미세먼지로 몸살을 앓고 있다. 봄철 성수기가 막 시작됐지만 미세먼지 농도가 짙어지면서 라운딩을 취소하거나, 중도 포기하는 회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골프장 입장에선 미세먼지가 취소 가능 자연재해에 포함되지 않아 패널티를 적용해야하지만, 회원들의 반발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세먼지 취소 가능 규정에 포함해야

5일 경기도 남부에 위치한 A골프장에 따르면 미세먼지 수치가 치솟기 시작한 지난 3·1절 연휴 골프 취소 문의가 이어졌다. 무단 취소로 인한 예약 정지 패널티를 적용하거나 20만원의 벌금을 부과하는데 반발하는 회원들의 항의도 잇따랐다.

지난 1일부터 6일 까지 6일간 경기도 지역 초미세먼지 농도는100~120㎍/㎥를 넘나들었다. '매우 나쁨'으로 분류되는 초미세먼지 농도 기준(75㎍/㎥)을 훌쩍 넘긴 수치다.

하지만 골프장들은 미세먼지가 규정에 포함되지 않아 당일 취소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골프장들은 대체로 정해진 기간 이후의 예약 취소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며, 당일 취소시에는 1~2개월의 예약 불가, 마일리지 차감 등의 패널티를 적용한다. 당일 약 취소 가능 사유는 대체로 강설, 폭우, 천둥번개, 심한 안개 등의 천재지변이다.

A골프장 관계자는 "회원들의 항의가 있어도 미세먼지가 취소 가능 규정에 포함되지 않아 패널티를 적용할 수 밖에 없다"며 "골프장을 찾은 회원과 고객들 모두에 초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를 무료로 지급하고 라운딩 중에도 꼭 쓰도록 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세먼지로 인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골프장들은 취소 규정에는 포함하지 않지만,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하는 골프장도 늘고 있다. 하루 이틀 전에 미세먼지 예보를 미리 확인해 취소하는 경우에 수수료 부과없이 취소가 가능하거나, 예약 날짜와 시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취소 가능 여부를 고려하는 방식이다.

올해부터 미세먼지를 취소가능 사유에 적용한 골프장도 나타났다. 이스트밸리, 태광CC 등은 올해부터 미세먼지도 취소가 가능한 천재지변에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B골프장 관계자는 "초미세먼지는 어느 천재지변보다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만큼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날은 회원들을 위해서라도 차라리 휴장하는 것이 낫다"며 "회원들의 요구도 많기 때문에 그런 규정들이 차차 검토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50대 이상에겐 치명적일 수 있어

전문가들은 어린이와 노인 등 노약자와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외부 활동을 최대한 자제할 것을 권하고 있다.

오랜 시간 실외 공기에 노출되는 운동은 특히 위험할 수 있다. 불가피하게 운동을 해야하는 경우, 초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마스크를 착용해야한다.

강남세브란스 장윤수 호흡기내과 교수는 "오랫동안 실외에 머물 경우에는 KF(Korea Filter)94 이상은 착용해야 안전한다"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마스크를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KF는 입자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수치로, KF94는 94%의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 국내에는 KF80, KF94, KF99 마스크가 제품이 판매 중이다. KF 숫자가 클수록 미세입자 차단 효과가 더 크지만, 그만큼 숨쉬기가 어렵거나 불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약처는 개인별 호흡량 을 고려해 마스크를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하지만 마스크를 쓴다고 해도 미세먼지의 침투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골프와 같은 장시간 외부 활동은 금하는 것이 좋다는 당부도 이어졌다.

장 교수는 "미세먼지는 호흡기 뿐 아니라 눈 점막과 피부를 통해서도 흡착되기 때문에 마스크를 쓰더라도 위험할 수 있다"며 "미세먼지가 혈관으로 침투해 혈관 점도가 올라가면 심근경색의 위험이 있어 50대 이상은 최대한 장기간 외부 노출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경고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