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계획./ 서울시
올해부터 서울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장애인은 월 50시간의 돌봄활동서비스를, 성인 발달장애인은 주간활동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중증장애인 종합지원 계획'을 7일 발표했다.
종합지원 계획은 ▲고령장애인 돌봄활동서비스 운영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운영 ▲중증장애인 자립생활(IL)지원센터 운영 지원확대 ▲거주시설연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사업 운영방법 개선 ▲중증장애인 인턴 지원인원 확대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운영 확대 및 모니터링 강화 ▲중증장애인 응급알림서비스(응급알림e) 운영 등 7가지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만 6세부터 65세까지 중증장애인은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로 월 최대 741시간의 활동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만 65세 이상이 되면 노인장기요양급여 대상자로 전환돼 돌봄 지원시간이 월 최대 108시간으로 대폭 줄어든다. 시는 돌봄공백을 메우기 위해 고령 중증장애인에게 월 50시간 이상의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수혜인원은 올해 170명, 내년 210명, 2021년 250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보건복지부와 함께 만 18세 이상이 돼 특수학교를 졸업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월 88시간의 주간활동서비스를 지원한다. 돌보미 1명과 2~4명의 발달장애인을 한 팀으로 구성해 교육과 훈련, 여가, 취미활동 등을 돕는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현재 45곳에서 49곳으로 4곳 확충한다. 지원인력은 186명에서 247명으로 61명 추가한다. 시설에서 나온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은 43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로 확대한다. 시는 중증장애인 인턴제로 올해 27명을 선발해 맞춤형 훈련과 취업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응급상황 시 대처할 수 있는 응급알림서비스는 지난해 1336가구에서 올해 1503가구로 늘렸다. 출입문 개방을 돕는 '리모컨 도어락'은 1250가구에 설치한다.
황치영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그동안 서울시가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지속 추진해왔음에도 사각지대가 남아 있었다"며 "중증장애인이 일상·주거·경제·문화생활을 자유롭게 누릴 수 있게 올해 계획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