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1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진행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 철학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김 원내대표는 "도를 넘어선 낙하산 인사-대통령 인사 철학이 바뀌어야 한다"며 "바른미래당은 작년부터 3차례에 걸쳐 문재인 정부 낙하산 인사현황을 전수조사했다. 이전 정부에 대해 민주당이 그렇게 비판했던 낙하산 인사, 문재인 정부 역시 낙하산 인사는 데칼코마니처럼 (이전 정부와) 다를 바 없었다"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하루 한 명 꼴로 임명되는 낙하산 인사를 보면서 청와대와 집권당은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논공행상도 정도가 있어야 하는데, 이 정부에 공정한 인사시스템이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라고도 했다.
김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의 인사를 비판한 것은 바른미래당이 지난 5일 폭로한 '친문 낙하산 공공백서 2탄'과 연관이 깊다. 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는 공공기관 기관장을 비롯해 상임·비상임이사 현황을 전수조사했고,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작년 말(12월31일 기준)까지 340개 공공기관에 총 434명의 낙하산 인사가 강행됐음을 알렸다. 바른미래당은 작년 9월 한차례 365명의 문재인 정부 낙하산 인사 명단을 공개한 바다.
그뿐인가. 바른미래당이 전수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 총 임원진 중 캠코더 인사의 비율은 70%를 육박했다. 예금보험공사의 경우 캠코더 인사 3명 중 2명이 작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임명됐다. 빠른 속도로 캠코더 인사가 증가한 셈이다. '캠코더 인사'는 '문재인 대통령 대선캠프 인사·여권 성향 시민단체 인사·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를 일컫는 말이다.
이런 와중에 전직 청와대 출신들의 재취업 뒷말까지 고개를 들었다. ▲'경제전문가'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주중국대한민국대사행, ▲문대림 전 청와대 비서관의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행 관련 '사전 내정' 의혹, ▲한정원 전 청와대 행정관의 속전속결 메리츠금융지주 상무 이직 등이 그렇다.
그래선지 김 원내대표는 대표연설 때 "대통령께 간절히 호소한다. '내 사람이 먼저다. 내 사람만이 잘 할 수 있다'는 생각은, '그래야 내 정권이 안전하다'는 보신주의와 다름없다"고 못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