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전 시민들이 '정원이 있는 미술관'으로 변신한 녹사평역을 둘러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미세먼지로 뿌연 서울 하늘처럼 우중충한 공간이었던 녹사평역이 '자연과 빛이 어우러진 정원'으로 탈바꿈했다. 지하 12층 깊이(35m)의 대형 중정에는 얇은 메탈 커튼이 걸려 있다. 천장의 유리 돔에서 쏟아지는 햇살이 커튼의 결을 따라 미끄러진다. 일렁이는 빛을 담아내는 거대한 캔버스 같다.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이 지하예술정원으로 변신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14일 '정원이 있는 미술관'으로 바뀐 녹사평역을 일반에 공개했다. 지난해 첫 삽을 뜬지 약 7개월 만이다.
녹사평역은 서울 시청의 용산 이전 계획에 따라 지난 2000년 지하 5층, 연면적 6000㎡의 대규모로 지어졌다. 천장 정중앙에 있는 반지름 21m의 유리 돔을 통해 역사 전체에 자연광이 비추는 독특한 구조로 개통 당시 예식장과 영화·드라마 촬영 장소로 이용되곤 했다. 시청 이전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역사만 덩그러니 남게 됐다.
시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녹사평역 지하예술 정원'을 조성, 문을 열었다. 공공 미술작품은 시민들이 지하 1층에서 5층으로 내려가면서 빛이 비치는 숲을 지나 땅속으로 들어가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가장 눈에 띄는 건 대형 중정 벽면에 걸린 메탈 커튼이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르내릴 때마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빛을 감상할 수 있다.
대합실인 지하 4층에는 숲을 테마로 한 작품이 들어섰다. 남산의 소나무 숲길을 걷는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숲갤러리', 푸른 풀이 무성한 녹색식물 터널 '녹사평 여기…'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오랜 시간 용산기지를 에워싼 담벼락에 남겨진 시간의 흔적도 재현됐다. 벽면에 설치된 작품 '담의 시간들'은 6·25 전쟁의 총탄 흔적이 있는 용산공원 벽과 용산기지 담벼락을 탁본해 만들었다. 식물공원 원형홀에는 600여개 식물을 식재했다.
시는 녹사평역부터 용산기지를 걸으며 주변 지역의 삶과 도시 인문적 요소를 살펴보는 '녹사평 산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신청하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3월 중에는 매주 목요일 1회 진행된다. 4월부터는 목요일과 토요일에 운영된다.
서정협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녹사평역은 일상적인 공간인 지하철역을 시민들이 공공미술을 접하고 머물고 싶은 장소로 바꾼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새로운 시도"라며 "신진예술가와 청년활동가, 시민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가 열리는 곳, 예술로 가득한 새로운 장소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