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한은 "美 무역 적자·EU 성장둔화 당분간 지속"

미국의 무역수지, 상품수출 및 수입증가율. /한국은행



미국이 당분간 큰 폭의 무역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럽도 상반기까지 성장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17일 한국은행은 '해외경제 포커스'에서 "글로벌 성장세 둔화에 따른 대외수요 감소, 미국의 양호한 성장흐름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 큰 폭의 무역적자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의 상품 기준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전년 대비 830억달러 확대된 8787억달러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수출이 달러화 강세,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부진한 반면 수입은 내수 호조 등으로 꾸준히 증가한 영향이다.

품목별로는 자본재, 소비재 등 비(非)석유류(7344억달러→8254억달러)에서, 국가별로는 중국(3756억달러→4192억달러)과의 교역에서 적자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유로지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유럽중앙은행(ECB) 등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6%포인트~0.8%포인트 햐향조정했다. 보호무역주의 지속 등에 따른 대외교역 둔화, 높은 정치적 불확실성, 환경규제 등 특이요인 영향의 장기화 등이 지적됐다.

국가별로는 OECD 기준 독일(-0.9%포인트), 이탈리아(-1.1%포인트)의 하향조정 폭이 컸다. 프랑스(-0.3%포인트)도 상당폭 하향조정됐다.

주요 기관의 유로지역 성장률 전망. /한국은행



일본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기업 경상이익이 10분기 만에 감소(-7.0%)했다. 일시적 평가손실과 인건비 등의 비용 요인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전반적인 영업환경은 매출액, 설비투자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등 여전히 양호한 것으로 됐다.

중국 정부는 최근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대내외 경제여건에 대한 평가와 함께 2019년 주요 경제정책 목표 및 방향 등을 발표했다.

대외적으로는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했다. 대내적으로는 중소·민영기업의 경영환경 악화 등에 따른 하방압력이 증대된 것으로 평가했다. 향후 중국 정부는 경기둔화 대응에 중점을 두고 고용 안정. 기업환경 개선 등에 주력하여 거시경제정책을 운용할 계획이다.

브라질은 신(新)정부의 연금개혁안이 의회에 제출됐다. 이번 연금개혁안에는 연금제도 합리화, 정부의 재정건전성 개선 등을 위한 연금 수급연령 상향, 연금 기여율 확대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재정건전성이 개선되고 경제성장률도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최근 국제 원유시장을 보면 주요 산유국 감산, 베네수엘라 생산 차질 등이 공급둔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국제유가는 공급측 상방 요인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 전망 등 수요측 하방 압력이 함께 작용하면서 보합세를 유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