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오는 2020년까지 도시가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에 도시가스 설치를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서울의 도시가스 이용률은 98.2%이다. 시내 426만3868세대 중 418만6601세대가 도시가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높은 이용률에도 고지대 암반지역, 노후건물 밀집지역, 사유지 경유 지역 등은 도시가스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자치구, 지역주민, 5개 도시가스회사와 협업해 주민 요구가 있는 낙후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가스 설치를 지원한다. 우선 현장실태 조사를 벌여 지역 특성에 맞는 해법을 찾는다. 이후 주민과 협의해 공사 가능 세대에 도시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노후건물 밀집지역은 안전진단과 기술검토를 실시한 후 공사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도시재생지역과 재개발지역은 개발지구와 연계해 공사를 진행한다. 사유지를 경유해야 하는 경우 자치구, 지역주민 대표, 가스회사가 토지 소유주와 협의한다. 단, 주택 내 등 사유지 구간의 배관 설치비는 개인이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이번 도시가스 공급 사업은 작년 여름 박원순 시장이 강북구 삼양동 한 달 살이 생활을 마치고 내놓은 '지역균형발전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앞서 시는 지난해 삼양동 도시가스 미공급 128세대를 대상으로 공사를 완료했다. 현재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14개 자치구, 34개동, 총 1698세대를 추가 발굴한 상태다.
해당 사업은 5개 도시가스회사가 먼저 투자한 후 도시가스 요금을 통해 원금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시는 시민체감도, 공사비 등을 요금에 반영해 적정한 도시가스요금을 책정할 방침이다.
김훤기 서울시 녹색에너지과장은 "그동안 가스배관 설치비 등 경제적 부담과 지역적 한계 등으로 도시가스를 공급받지 못했던 소외지역 주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