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2차 북미회담, 양측 생산적 대화했다 평가"
야당 "정부, 북한에 석탄 등 제공" 대북제재 위반 의혹 제기
20일 국회에서 3월 임시국회 6차 본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석대성 기자
여야는 20일 국회 본회의를 열고 3월 임시국회 대정부질문(외교·통일·안보)에 나섰다. 19일 정치 분야 대정부질문에 이어 이틀째다. 여야는 오는 21일 경제 분야, 22일엔 교육·사회·문화 분야 순으로 대정부질문을 진행한다. 대정부질문은 국회 본회의 소집 때 국회의원이 정부에 국정 전반을 대상으로 질문하는 제도다.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대정부질문에 박병석(5선)·최재성(4선)·김경협(재선)·이수혁(초선)·김두관(초선) 의원을 내보냈다.
'제1야당' 자유한국당은 유기준(4선)·윤상현(4선)·김영우(3선)·백승주(초선)·강효상(초선) 의원이 질문했다. 바른미래당에선 김중로(초선) 의원이 나섰다.
이번 대정부질문에선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후 정부 대응방안 ▲북한 비핵화 대응책 ▲정부의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위반 의혹 등이 단골 질의로 등장했다. 민주당은 2차 북미회담에 대해 성과가 있었다고 긍정 평가했다. 한국당의 경우 북미회담이 총체적으로 결렬됐다며, 정부가 유엔 제재를 깨고 북한에 석탄을 지원했다는 의혹 등도 제기했다.
대정부질문 답변자로는 이낙연 국무총리와 강경화 외교부장관, 조명균 통일부장관, 정경두 국방부장관이 나왔다.
한편 이날 대정부질문에 앞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비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를 겨냥해 "공정한 선거제도가 만들어지면 정의당이 교섭단체가 되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하신 것이 정말 사실이냐"고 비꼬았고, 의석에 앉아 있던 한국당 의원들은 야유를 던지며 퇴장했다.
윤 원내대표는 또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는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며 "(한국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방해하지 말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