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홍영표 "민생법안이라도 처리하자" vs 나경원 "선거법 등 다시 논의해야"[/b]
[b]문희상 의장 주관 여야 4당 원내대표 오찬도 취소…갈등 정점 찍나[/b]
여야 3당이 25일 공직선거법 개정안 등 3월 임시국회 향후 계획을 논의했지만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날 예정했던 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4당 원내대표 오찬까지 취소되면서 여야 갈등을 정점을 찍는 모양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나경원 자유한국당·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쟁점 현안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 회동했지만 성과 없이 끝났다.
홍 원내대표는 "싸울 때 싸우더라도 민생입법 같은 것이라도 처리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나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선거법에 관해 다시 논의해보고 사법개혁은 열린 자세로 논의해야 한다"며 "신속처리안건(패스트 트랙)에 태워선 안된다"고 전했다.
나 원내대표는 이날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선거제 개편에 대해 의원정수 10% 감소를 전제로 논의를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나 원내대표는 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비리 의혹과 드루킹 사건, 손혜원 의원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을 전부 특별검사제도를 운영해 수사해야 한다고 알렸다. 나 원내대표에 따르면 다른 원내대표들은 이 같은 제안에 특별한 대답을 하지 않았다.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수사·기소권 분리 등 사법개혁안을 두고 대립 중인 민주당과 바른미래당도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 현재 미래당은 공수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관영 미래당 원내대표는 "(홍 원내대표가) 지난번처럼 기소권과 수사권을 분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원칙적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 다만 김 원내대표에 따르면 홍 원내대표는 (사법개혁안에 대해) '미래당 제안을 최대한 수용하는 방안으로 사법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날은 문 희장과 여야 4당(민주당·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 원내대표의 오찬이 예정됐었다. 하지만 홍 원내대표는 "나 원내대표가 못 온다고 해서 의장 주재 오찬은 하지말자고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