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결핵검진 시범사업을 시행한 결과 결핵환자 74명을 조기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강원, 경북 지역의 3만 2399명을 대상으로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통한 결핵검진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다. 질병관리본부는 조기발견한 74명은 지난해 국내 전체 65세 이상 결핵 신환자율인 인구 10만 명 당 162.8명과 비교할 때, 인구 10만 명 당 65.2명을 추가로 조기에 발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국가건강검진에서 폐결핵 판정 후 1달 이내 결핵 확진받은 사람(88.5%)과 6달 이후 확진 받은 사람들(27.4%)의 치료성공률은 약 3.2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75세 이상, 독거, 결핵 과거력이나 환자와의 접촉력이 있는 경우,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으면서 결핵 의심 증상(2주 이상 기침 등)이 있는 경우, 최대 3배 정도 발병 위험이 더 높았다. 특히 2018년까지 국가건강검진에서 결핵의심 환자로 분류되지 않았던 흉부엑스레이 상 비활동성 판정자 3617명 중 37명(인구 10만 명 당 1023명)이 객담검사 등을 통해 결핵환자로 확진됐다.
질병관리본부 공인식 결핵에이즈관리과장은 "어르신들은 면역력이 약해 결핵이 쉽게 생길 수 있지만, 기침 등 전형적인 결핵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조기발견이 어렵다"며 "당뇨 등 면역저하질환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상황에서 65세 이상 어르신은 증상이 없더라도 매년 1회 꼭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받아 건강한 삶을 지키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전라남도(순천시, 함평군), 충청남도(아산시, 태안군)에서 찾아가는 어르신 결핵검진을 실시할 계획이며, 앞으로 전국으로 사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