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중·소형 민간건축공사장에 대한 안점점검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1만㎡ 미만의 중·소규모 공사 중 철거, 굴토(흙 파기), 크레인 등 사고 위험이 큰 작업에 대한 집중 안전점검을 벌인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3월 기준으로 서울시 내 민간건축공사장은 4200곳이다. 이 중 1만㎡ 미만의 중·소형 공사장은 3800곳으로 전체의 90%에 달한다. 지하 1층 이상을 굴착하는 공사장은 2300곳, 지하층이 없는 공사장은 1500곳이다.
시는 중·소형 공사장 중 위험등급이 높은 공사장 1400곳을 선별해 철거, 굴토, 크레인 등 취약 공종에 대한 안전점검을 4200회 진행한다. 이번 점검에는 서울시 건축안전자문단 300명이 투입된다.
우선 시는 자치구 건축심의 분야별 전문위원회나 구청장 직권으로 위험공사장을 선정하게 한다. 점검 대상 공사장의 안전관리를 감독하는 현장 감리자는 안전관리 감리업무 수행사항을 사전 점검하고 자치구에 안전점검을 신청한다. 전문가는 현장 위해 요인을 점검하고, 구청 직원은 현장 감리의 안전관리 실태를 확인한다.
점검 결과 지적 사항에 대해서는 보완 후 공사하도록 하고, 설계대로 공사하지 않은 경우 등 중대한 위반사항이 적발될 경우 건축관계자에 대한 행정처분을 내린다. 자치구는 점검 실적을 분기별로 서울시에 제출한다. 시는 점검 실적 현황을 비교·분석해 공사장 안전관리 개선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달 말까지 17개 자치구에 지역건축안전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나머지 8개 구는 연말까지 안전센터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류훈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이번 중·소형 민간건축공사장 집중 안전점검으로 공사장 안전사고 예방을 기대한다"며 "예년과 같은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자치구와 협력해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