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국민 정서와 거리 먼 3·8 개각 대상자들… 조국-조현옥 '가시방석'[/b]
[b]'과기부 장관 후보자 지명철회' 후 '北김정은 부산 초청' 꺼낸 靑[/b]
[b]"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때 '北김정은 초청' 내부 논의 중"[/b]
청와대가 이른바 '조국(민정수석비서관)-조현옥(인사수석비서관) 경질' 위기를 직면한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부산 답방'으로 활로를 모색하는 모양새다.
우선 조국-조현옥 경질 위기가 나온 배경은 이렇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8일 7개 부처 개각을 단행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지명한 장관 후보자들은 위장전입·부동산 투기 등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행동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싸늘한 여론을 인식했을까. 조동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최근 '대통령 지명철회'라는 불명예를 얻게 됐다. 조 후보자가 지명철회를 밟자 야권에서는 고위공직자 인사 검증을 담당하는 조국-조현옥 수석비서관 경질을 주장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 때 "문 대통령에게 국민보다 조조라인(조국-조현옥)이 더 소중한지 묻고 싶다"며 "과거 대통령 밑에 소통령이 있다고 했다. 지금은 조통령이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나 원내대표 발언에 앞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지난 1일 당 최고위원회의 때 "대통령에게 조 민정수석이 설사 잘못한 게 없어도 국민을 생각해서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사퇴를 시키라고 했다. 조 민정수석은 물러나야 한다"고 했다.
야권에서 주장하는 조국-조현옥 경질은 장시간 지속될 전망이다. 인사 문제가 부각될수록 여권 입장에서는 악재이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여권관계자는 2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지금 조 후보자를 비롯해 문 대통령이 지명한 장관 후보자 다수는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국민 눈높이에 부합했다면 조 후보자에 대한 대통령 지명철회는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야권이 조국-조현옥 경질로 압박하자 청와대는 외교 현안으로 '국정동력 회복'에 나섰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의 1일 브리핑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오는 11월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부산에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한다. 우리나라의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는 2009년(제주도)과 2014년(부산)에 이어 3번째다. 이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초청 방안도 제기됐다. 윤 수석비서관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때 '한반도 평화를 위해 김 위원장을 초청하면 좋겠다'는 내부 논의가 있어서 아세안 국가들과 그 부분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 제안은 작년 11월 한-아세안 정상회의 때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언급한 바다.
또 다른 여권관계자는 2일 메트로신문과 만나 "야권에서는 조조(조국-조현옥)라인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하지만 큰 틀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한반도 평화만큼 중요한 게 있을까 싶다. 또 김 위원장이 부산에 온다면 여야 대립 등을 떠나 긍정적인 부분이 훨씬 큰 것 아닌가"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