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홍종학→박영선?… 중기부에 드리운 '임명강행' 징크스



중소벤처기업부에 예사롭지 않은 '징크스'가 드리운 모양새다. 바로 문재인 대통령의 장관 후보자 임명강행이다. 문 대통령이 지명한 중기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야권의 시선이 매우 따가웠던 것이다. 즉 중기부 장관 후보자들에게 국회 인사검증 문턱은 매우 높았다는 얘기다.

우선 중기부는 현 정부부처 중 가장 역사가 짧은 부처이자 현 정부를 상징하는 부처로 통한다. 문 대통령은 우리경제 살리기 일환으로 '중소기업-벤처기업 활성화'를 도모했고, 목적 달성을 위해 2017년 7월26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중소기업청을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시켰다.

짧은 역사 때문일까. 문 대통령이 지명했던 중기부 장관 후보자들은 국회에서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현 중기부 장관인 홍종학 장관의 지난 2017년 국회 청문회가 이를 방증한다. 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소속)을 지낸 홍 장관은 개혁성향 경제학자로 정평이 났다. 그는 1997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서 재벌개혁위원장 및 연구소장 등으로 활동한 바다.

'개혁성향 경제학자' 홍 장관. 국회 인사검증이 시작되자 다양한 논란이 불거졌다. 홍 장관을 둘러싼 대표적인 논란은 '부의 대물림'이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살펴보면, 홍 장관과 홍 장관 가족 재산은 2012년 21억7000만원에서 2016년 49억5000만원으로 팽창했다. 더욱이 이러한 재산 급증은 부동산 증여로 이뤄졌고, 중학생인 홍 장관 딸은 8억원이 넘는 상가 지분을 증여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국회에서는 홍 장관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았고, 문 대통령은 2017년 11월 홍 장관을 임명강행하게 된다.

이런 상황은 홍 장관 바톤을 이을 박영선 중기부 장관 후보자(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해당된다. 박 후보자는 민주당 내 최고위원-원내대표 등을 역임한 4선 중진인사다. 그뿐인가. 그동안 박 후보자는 의정활동을 통해 '재벌저격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하지만 박 후보자도 국회 인사검증이 시작되자 다양한 논란을 직면하게 됐다. 박 후보자가 국회의원 정치자금으로 과태료를 납부했다는 주장이, 박 후보자 아들 증여세법 위반 의혹이 각각 불거졌다. 그래선지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 때 "박 후보자 지명철회 없이는 앞으로 국회에서 원만한 협조를 하긴 어렵다"고 했다.

야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은 박 후보자를 임명강행할 조짐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메트로신문과 만나 "청와대는 적어도 3일까지는 박 후보자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을 국회에 할 예정"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박 후보자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를 했음에도, 국회에서 보고서 채택이 이뤄지지 않으면 '직권'으로 박 후보자를 임명할 수 있다. 더욱이 문 대통령은 오는 9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오는 10일 한미정상회담을 위해 미국 워싱턴으로 간다. 이러한 일정을 살펴볼 때 국회에서 오는 8일까지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는다면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것이라는 게 정계 중론이다.

윤용호 자유한국당 부대변인은 2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중기부 역사는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시작됐기 때문에 매우 짧다. 역사는 짧지만 그만큼 현 정부를 상징하는 부처라는 얘기기도 하다. 다만 그런 부처의 수장들이 임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썩 좋은 과정은 아닌 것 같다. 홍 장관을 비롯해 박 후보자까지 문 대통령이 임명강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