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정부는 우선 광역지자체 한 곳을 서울과 제주에 이은 세계관광도시로 키우겠다."[/b]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확대 국가관광전략회의'에 참석해 언급한 발언이다. 문 대통령은 "기초지자체 네 곳을 지역관광허브로 육성하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계속해서 "외국관광객들이 찾는 지역은 주로 서울과 수도권, 제주와 부산 정도로 한정돼 있다"며 "의료관광·해양관광·체험관광·음악관광 등 지역에 특화된 콘텐츠(자료 또는 정보) 중심으로 지자체가 관광산업 주체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에게는 문화와 기술의 힘이 있다. 변화하는 관광 흐름에 맞춰 모바일·ICT(정보통신기술) 등을 접목해 관광서비스 수준을 높여나가야 한다. 스마트폰 하나면 교통에서 예약, 결제까지 모두 해결 가능한 스마트관광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이 참석한 국가관광전략회의는 '융복합 관광정책 협업 강화'를 위해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로 처음 설치된 범정부 회의체다. 이 회의는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매년 1회 국무총리 주재로 열렸다.
눈여겨볼 점은 올해 국가관광전략회의에 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점이다. 이번 회의가 확대 관광전략회의로 진행된 것도 이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문 대통령의 이번 관광현장 행보는 '관광을 통한 삶의 활력'에 대한 정부 의지가 일선 현장까지 전달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중앙과 지방, 업계의 적극적 협력을 이끌어내 우리나라 관광이 새롭게 도약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도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이 관광전략회의 때 '광역지자체 한 곳의 관광도시 육성'을 언급하자 정계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부산을 향했다.
익명을 요구한 정계 관계자는 2일 메트로신문과 만나 "어느 광역지자체가 관광도시로 육성될지 모르겠다만 부산정가에서는 문 대통령 발언에 술렁이지 않을까 싶다"며 "부산시의 최근 '김해신공항 반대' 홍보물도 그렇고, 정부여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가덕도 신공항',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정상회의 때문"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그뿐인가. 문 대통령은 관광전략회의 때 외국관광객들이 찾는 지역으로 '서울-제주-부산'을 공개적으로 거론하지 않았나"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