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기온 변화로 인해 춘곤증이 발생하는 4월에 졸음운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점심 후인 오후 2~4시 졸음운전 사고가 집중돼 운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2018년 현대해상의 승용차 사고 88만3475건을 분석한 결과 총 5476건의 졸음운전 사고 중 28.1%(1537건)가 봄철에 발생했다. 특히 4월 10.3%(566건)가 집중됐다.
이밖에 여름철은 27.3%(1493건), 가을은 25.4%(1444건), 겨울은 18.3%(1002건)의 졸음운전 사고가 발생했다.
봄철 졸음운전은 치사율도 높았다. 봄철 졸음운전 치사율은 0.78%로 겨울(0.5%), 여름(0.2%), 가을(0.14%)보다 최대 5배 이상 높았다.
오후 2~4시 졸음운전 사고 발생률은 16.7%로 전체 사고 대비 3.8%포인트 높았다. 이 시간대 졸음운전 치사율은 전세사고 대비 6.4배 높았다.
오후 2~4시 졸음운전의 사고유형을 보면 도로이탈이 30.3%로 전체사고 대비 13.1%포인트 높았다. 후미추돌(27.1%), 측면충돌(23.2%) 등의 졸음운전 사고도 크게 발생했다.
오후 2~4시 운전자 연령별 치사율은 60대가 1.06%로 가장 높았고 30대(0.95%), 40대(0.86%), 20대(0.65%) 순이었다.
또 전체 졸음사고 치사율은 주중보다 주말이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 관계자는 "시속 100km로 1초를 주행하면 약 28m를 가게 돼 4초 정도를 졸면 100m 이상 진행한다"며 "순식간에 발생하는 졸음운전은 제동 없이 곧바로 충격을 가하기 때문에 피해의 심도가 일반 사고보다 약 3배 크다"고 분석했다.
이어 "졸음운전을 막기 위해서는 장거리 통행 때 2시간 간격으로 휴식을 취하고 실내 환기를 자주 시키며 5분 정도의 스트레칭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