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시, "1조9000억원 투입해 '글로벌 창업도시 서울' 만든다"

박원순 시장이 4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글로벌 TOP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서울시가 향후 4년간 총 1조9000억원을 투입, 세계적인 창업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진력한다.

4차산업혁명 기술혁신을 주도할 혁신인재 1만명을 육성하고, 기술창업기업 입주공간을 2200여곳으로 늘려 신기술 창업 인프라를 확충한다. 오는 2022년까지 매출 100억원 이상 벤처기업을 100개 이상 배출하고,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유니콘 스타트업'을 7개에서 15개로 확대한다. 총 사업체 매출액 대비 벤처기업 매출액 비중은 기존 3%에서 7%로 높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TOP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7대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시는 기술인재 1만명을 양성하기 위해 글로벌 인재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홍릉(바이오), 마포(핀테크·블록체인), 개포·양재(AI·빅데이터) 등 6대 신산업 거점을 중심으로 4차산업혁명 기술 특화인재 6400명을 키운다. 11월 개포디지털혁신파크 내에 과기부와 함께 '혁신학교'를 설립해 문제해결 중심의 소프트웨어 융합형 인재 2000명을 배출한다.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7대 프로젝트의 핵심 성과지표./ 서울시



창업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법적인 규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국무조정실 규제개혁실과 핀테크와 바이오 분야에 관련된 규제 개선을 논의 중"이라며 "홍릉을 강소연구개발 특구로 지정하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 지정되면 규제 완화 효과가 생긴다. 규제 완화 부분이 스타트업에서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병행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기술창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핵심인재 유치와 육성에도 집중한다. 법무부와 협조해 '기술창업 준비비자'를 일주일 내로 발급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한다. 벤처캐피털이나 액셀러레이터로부터 1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할 경우 '기술창업 비자'가 즉시 발급되도록 패스트트랙을 신설한다.

양재, 홍릉 등 신산업 거점을 중심으로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을 새롭게 조성한다. 입주기업은 현재 1043개에서 2200여개로 2배 가까이 늘린다. 공간 규모는 기존 20만㎡에서 48만㎡로 2.4배 확대한다. 마포 서울창업허브는 입주공간을 구하기 어려운 신생 기술 스타트업의 초기육성 전진기지가 된다.

창업 마중물과 제품화 단계에 초기투자를 강화해 데스밸리를 극복하고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산업진흥원 재원 190억원을 400개 기업에 투자하고, 서울시 중소기업육성기금을 활용해 600억원 규모의 시드펀드를 만들어 600여개 기업을 지원한다. 창업·재도전을 위한 1조2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2000개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그동안 공공이 주도해온 창업보육 영역을 기업과 벤처투자자 등 전문성을 갖춘 민간에 개방한다.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창업 플랫폼'을 가동한다.

혁신적인 창업 아이디어를 6개월 이내에 시제품으로 완성할 수 있도록 종합 지원하는 '제품화 180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제품화에 성공했지만, 실증기회와 판로부족으로 애를 먹는 스타트업을 위해 서울시가 혁신제품의 테스트베드가 된다. 아울러 서울에서 창업한 혁신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시작단계부터 전략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박원순 시장은 "시민의 가장 절박한 삶의 문제인 먹거리와 일자리, 서울에 가장 절실한 미래인 성장동력 창출의 중심에는 '창업'이 있다"며 "서울 경제의 체질을 개선해 '한강의 기적'을 잇는 '창업의 기적'을 서울에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